런던시 튤립 타워 무산

런던 스카이라인 속 튤립 타워 © Michael Driver

영국 건축사무소 포스터 앤 파트너스(Foster + Partners)에서 디자인한 초고층 건물 ‘튤립 타워(The tulip)’가 끝내 정부의 건축 허가를 받지 못해 기획이 무산되었다. 정부 측에서 말하는 허가 거부의 주된 이유는 “건물의 디자인이 형편없고, 역사적 맥락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 이로써 런던 중심부에 튤립 모양의 초고층 빌딩으로 또 다른 도시 이미지를 보여주려던 야망은 좌절된 듯하다. 원래 이 건축물은 2025년 완공을 목표로, 30 세인트 메리 액스(30 St Mary Axe, The Gerkin) 바로 옆, 런던 버리 스트리트에 지어질 예정이었다. 305m 높이의 튤립 타워가 지어졌다면, 더 샤드(310m)에 이어 런던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빌딩이 되었을 것이다.

튤립 타워 버드아이뷰 © Michael Driver

튤립 타워는 지난 2018년, 런던시(the City of London Corporation)에서 승인이 되었으나, 2021년 11월 11일 런던 시장이 최종적으로 반대한 것이다. 이에 대해 튤립 타워의 후원자인 제이콥 사프라는 항소했지만 이 역시 기각되었다. 런던 시장 사디크 칸은 “항소하는데 불필요하게 사용된 세금이 아까울 뿐이다”며 결과에 대한 만족감을 강하게 표했다.

210장에 달하는 정부 측의 보고서에는 건축사무소와 후원자의 항소가 기각된 이유가 상세히 적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이유는, 튤립 타워가 세워졌을 때 런던 타워를 포함한 주변 장소가 지닌 문화 유산을 헤칠 수 있다는 점, 주변 빌딩과 어우러지지 않는 점, 건물의 토대와 지하도 공사에 엄청난 양의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해야 하는 지속 불가능성 등이다.

튤립 타워 내부 상상도 © Michael Driver

대변인에 따르면 사디크 시장은 “튤립 타워는 그저 꼭대기에 갤러리가 달린 거대한 콘크리트 승강기나 다름없고, 이 건물로 인해 심각한 주거, 사무 공간 부족에 시달리는 런던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것은 거의 없다”고 오래전부터 주장해왔다. 즉 튤립 타워는 런던의 스카이라인을 해치는 문제 뿐만 아니라 공익성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bbc.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9-08 | 폴 스미스의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포스터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의 영국 개봉을 앞두고, 특별한 포스터가 등장했습니다. 패션 디자이너 폴 스미스의 한정판 영화 포스터들이 그것입니다. 영화의 시공간적 배경이 된 1970년대의 런던을 살아온 사람으로서, 폴 스미스는 연출을 맡은 토마스 알프레드손 감독과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합니다. 그런 인연으로 네 장의 특별한 폴 스미스 디자인 포스터가 탄생했습니다.

2006-08-08 | 매그넘 인 모션

제2차세계대전이라는 가공할 전쟁이 끝나고 2년 뒤, 4인의 사진가가 사진가들에 의한 사진가들을 위한 협동조합을 설립했습니다. 매그넘 포토스의 사진가들은 이후 세상의 사건, 사람, 장소, 문화를 기록하며 강력한 이야기를 전달해왔죠. 2004년 매그넘은 ‘매그넘 인 모션’을 통해, 사진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더해, 21세기의 포토 에세이를 전하려 했습니다. 비록 매그넘 인 모션은 2008년까지만 운영되었지만, 대신 매그넘 인 모션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였던 클로딘 보글린이 모아둔 ‘매그넘 인 모션 압축판’을 덧붙여봅니다.

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2011-04-01 | 노키아 퓨어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