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는 눈, 이에는 이, 칼에는?: 2021 영국 다이슨 어워드

리액트, 2021. © Joseph Bentley, Dyson

응급 처치용 의료기기 ‘리액트(REACT)’를 디자인한 조셉 벤틀리(Joseph Bentley)가 ‘2021 영국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내셔널 위너 부문을 수상했다. 리액트는 칼로 인한 범죄가 발생했을 때, 피해자의 자상에 장치를 삽입하여 현장에서 즉시 출혈을 방지함으로써, 피해자가 사망하지 않게 한다. 구조대원들은 리액트를 사용하여 출혈 부위에 직접 압력을 가해 기존의 의료 기기보다 더 빨리 출혈을 억제할 수 있다.

2020년 영국 정부의 조사에서는, 2019년에 영국과 웨일스에서 46,000 건의 흉기 범죄 사건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사건에서 발생한 희생자의 사망 원인은 대부분 과다 출혈로 밝혀졌다. 런던내에서 앰뷸런스가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평균 10분이 걸리지만, 과다 출혈로 인해 사람은 단 5분 안에 사망할 수 있다.

자상을 다루는 최선책은 몸에 꽂힌 물질을 빼내지 않고 그대로 두는 것인데, 이는 물질이 상처 내부에 압박을 주고, 구멍이 난 곳을 채워 내출혈을 예방하는 방식이다. 디자이너는 여기에서 기본 원리를 착안하여, 사용자가 리액트의 방아쇠를 당기면, 체내 삽입형 의료용 실리콘 풍선 압박 장치(The implantable medical-grade silicon Balloon Tamponade)가 자상에 삽입되어 자동으로 부풀어 상처를 압박하도록 설계했다. 이 방법은 지혈을 단 1분안에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처에 거즈를 쑤셔 넣는 방법보다 덜 고통스러워, 더 많은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리액트, 2021. © Joseph Bentley, Dyson

디자이너는 “의료 기기 개발은 보통 긴 시간이 소요되지만, 수년 내로 리액트 시스템이 흉기 범죄 피해자의 과다 출혈을 막아, 더 많은 사람을 살리길 바란다”고 전했다.

jamesdysonaward.org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2011-10-24 | 아키진스

세계 각국의 건축 관련 잡지들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 ‘아키진스’의 오프라인 전시가 2011년 AA 건축학교에서 열렸습니다. 동명의 전시회 ‘아키진스’에서는 20여 개 국가에서 나온 건축 관련 잡지, 팬진, 저널 등 총 60여 종을 소개했습니다. 가내수공업 스타일의 무료 잡지에서 이름난 건축 전문지까지, 각각의 출판물과 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나란히 함께 하였죠.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공병으로 만든 시상대: 2020 도쿄올림픽

2021년 8월에 열리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컨셉으로 트로피, 메달과 같은 다양한 오브제를 보여주고 있다. 그...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