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만들 수 있는 자전거 #Openbike

아르키마냐(arquimaña), ‘오픈 바이크(#Openbike)’, 2021. ⓒ arquimaña

스페인 건축 스튜디오 아르키마냐(arquimaña)의 ‘오픈 바이크(#Openbike)프로젝트’에서는 도면을 다운로드하여 나무 자전거를 제작할 수 있는 오픈 소스를 제공한다. 오픈 바이크의 첫 번째 모델인 2015년 Rev1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4가지 버전의 오픈 바이크가 공개되었다.

이들은 디지털 도면 정보를 공유하여, 제작자/사용자가 원자재를 인근에서 구해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송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 자전거는 디지털 제조 작업장(팹랩/FAB Lab)에서 3D프린팅과 CNC 커팅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일반 도시에서 누구나 직접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 생산을 활성화하면서 동시에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자전거 제조 도면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로 비상업적 공유가 가능하며, 이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오픈 소스 디자인 원칙에 기초하여, 공유, 수정,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 공유되는 피드백을 기반으로 디자인은 계속해서 변화, 진화해오고 있다. 제작자/사용자는 자신의 문화, 사회, 소재에 맞게 디자인을 변용할 수 있다.

아르키마냐의 오픈 바이크 프로젝트는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스페인관과 2021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도시전에서 소개되었다.

아르키마냐, ‘Rev1’, 2015. ⓒ arquimaña
아르키마냐, ‘Rev2’, 2016-17. ⓒ arquimaña
아르키마냐, ‘Rev3’, 2018. ⓒ arquimaña
아르키마냐, ‘Rev4’, 2019. ⓒ arquimaña

arquimaña.com
openbike.cc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04 | 우표 x 증강현실

현실 세계에 가상의 객체가 겹쳐지는 증강현실 기술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한층 가까이 다가왔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우표 위에 건물이 솟아오르는 일도 가능해졌죠. 2011년 암스테르담의 광고회사 검모는 TNT 포스트의 의뢰로 증강현실 우표 세트를 선보였습니다. 아직 지어지지 않은 다섯 개의 건축물이 자그마한 우표 위에서 구현됩니다. 모두 아직 세워지지 않은 건물들이라는 점에서 증강현실 기술에 더욱 어울려 보였죠.

머릿속을 꺼내 보는 방법, MRI를 활용한 3D 프린팅 뇌

뉴저지 맥네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엘레나 말롯이 MRI 스캔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 전체를 3D 프린팅...

2010-04-28 | 아이들에게 안경을

퓨즈프로젝트의 작업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에는 ‘사회적 영향’이 있습니다. 2010년의 이 프로젝트도 그에 속하죠.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는 아이들의 시력이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작된 무료 안경 배포 프로그램입니다. 퓨즈프로젝트는 안경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일 만한 유쾌한 모양의 안경을 디자인했습니다.

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