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을 먹는 곤충, 패키징 신소재

‘키토폼(Chitofoam)’ 소재로 만든 컵(왼쪽).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의 샤를로테 뵈닝(Charlotte Böhning)과 마리 렘프레스(Mary Lempres)

디자인 스튜디오 도플갱어(Doppelgänger)의 샤를로테 뵈닝(Charlotte Böhning)과 마리 렘프레스(Mary Lempres)는 밀웜(딱정벌레의 유충)의 외골격으로 만든 생분해성 스티로폼을 개발중이다. ‘키토폼(Chitofoam)’이라 불리는 이 소재는, ‘키틴(Chitin)’이라는 생체고분자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밀웜을 사용해 강력하면서도 유연한 외골격을 만들어 내어, 발포성 폴리스티렌(EPS)의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다. 키토폼은 충격에 강하고, 방수 기능이 있어 컵이나 완충재 혹은 다른 패키지의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스티로폼으로 널리 알려져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시간이 지나면서 부서져 작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한다. 이것은 재활용도 쉽지 않아 결국 쓰레기 매립지의 약 30퍼센트를 차지하는, 매우 경제성이 떨어지는 소재이다.

키토폼 소재로 만든 패키지.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

도플갱어의 두 디자이너는 자신들이 직접 만든 밀웜 바이오다이제스터에 패키지 폐기물과 모델링한 폼을 넣어 분해 반응을 실험했는데, 플라스틱을 먹는 벌레가 키토산이라 불리는 바이오폴리머 겔을 흘리는 과정에서 외골격을 추출하는 것을 포착, 이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을 거쳐 새로운 물질을 개발한 후에는, 가볍고 방수가 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퇴비화가 가능한 스티로폼 패키지를 제작했다. 실제 포장재의 디자인에서는 키토폼을 격자 모양의 구조로 만들어 상품의 보호 기능을 한층 높였다.

키토폼 시스템.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

키토폼의 순환 시스템은 작은 생명체의 도움으로 환경에 유해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스티로폼 폐기물 관리를 위한 해결책을 만들어냈다. 2015년, 스탠포드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밀웜이 스티로폼을 아무런 문제없이 소화, 분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100마리의 밀웜은 하루에 40밀리그램의 스티로폼을 먹을 수 있다고 밝혔다.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

밀웜은 100% 식용 곤충으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고 특히 농촌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밀웜 농장이 주목받고 있다. 식용 밀웜은 적은 자원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기를 수 있고 공간 효율성도 뛰어나다.

charlotteboehning.com
marylempres.space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1-24 | 일회용 정원, ‘B-백’

작년 농촌진흥청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10명 중 5명이 “반려식물”에 관심이 더 커졌다고 답했습니다. 집에 머물러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집 안에 자연을 들이는 홈 가드닝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늘어났지요. 2007년에 전해드렸던 독특한 모양의 그로우 백 소식이 새삼 다시 눈에 띈 이유일지도요.

2007-01-10 | 네덜란드의 상징을 담은 우표 컬렉션

지난주 미국 산업디자인 역사를 담은 우표를 소개했다면 오늘은 네덜란드의 상징들을 담은 우표입니다. TNT 포스트의 의뢰로 우표 디자인에 나선 스타트는 튤립이나 스케이트 같은 전통적인 상징 외에도, 부가부의 유아차라던가 테요 레미의 ‘우유병 램프’ 같은 현대의 상징을 모아, “네덜란드의 DNA”를 담은 12장의 우표 컬렉션을 선보였습니다. 

2008-12-30 | 디자인 옥션 하이라이트

디자인플럭스가 문을 연 2006년은 마크 뉴슨의 ‘록히드 라운지’가 소더비 경매에서 160만 달러라는 기록적인 가격에 판매되었고, 전년 ‘디자인.05’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던 행사가 디자인 마이애미/라는 익숙한 이름으로 찾아온 해이기도 합니다. 2008년 오늘은 크리스티, 소더비 등 주요 디자인 경매 6개 행사의 결과를 소개합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이탈리아 디자인에 대한 선호 흐름을 예견하듯, 카를로 몰리노의 ‘보조 탁자’가 가장 비싼 값에 낙찰되었습니다. 작품으로서 수집의 대상이 된 디자인. 그에 부응하듯, 2008년 아트넷도 온라인 디자인 마켓플레이스를 열었습니다. 

재활용 플라스틱 벽돌 ‘바이블록’

“플라스틱은 무죄입니다. 문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대로 처리할 계획이 없다는 점이죠.” 2017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문을 연 바이퓨전(ByFusion...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