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시대: 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디자인 뮤지엄(The Design Museum): ‘폐기물 시대(Waste Age)’ 전시 아이덴티티 © Spin Studio

버려진 재료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는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전시가 지난 20일 까지 런던에 위치한 디자인 뮤지엄에서 진행되었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맞춰 기획된 이 전시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이 할 수 있는 일들을 보여주었다.

이번 전시에는 유럽 소니 디자인 센터에서 기증한 작품을 비롯하여 300여 개의 오브제를 선보이고있는데, 건축, 전자제품, 패키지, 패션, 그리고 음식물에 대해서까지 디자이너가 어떻게 재정의하고 있는지, 다양한 대안적 접근 방식을 만나볼 수 있다.

© Waste Age

이 전시의 공동 큐레이터인 저스틴 맥궈르크(Justin McGuirk)는 “디자인은 낭비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 전시는]우리의 생활 방식을 되돌아 보고 자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소재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환경 문제에 독창성을 적용하여 하나의 터닝포인트가 되기를 원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많지만, 무엇보다 쓰레기를 이해하는 것이 그 시작이다”라고 말했다.

제임스 쇼(James Shaw)의 ‘바로크 테이블 램프’ © Felix Speller
페르난도 라포쎄(Fernando Laposse), ‘사이잘 테이블(Sisal Table)’, © Felix Speller
마모우 마니(Mamou-Mani), 건축 설치 모듈 ‘오로라(Aurora)’, © Felix Speller

designmuseum.org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태양계로 그려낸 록 음악 계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현대 팝, 록 음악의 계보는 다양한 형식의 다이어그램으로 묘사되어 왔다. 얼마전...

2007-06-21 | RCA 졸업전

1851년 런던의 하이드 파크에 거대한 유리 건물이 세워졌습니다. 이름하여 ‘수정궁’ 안에 만국의 산업, 문화, 예술 생산품을 선보였던 그 행사의 이름은 ‘대박람회’였습니다. 만국박람회의 시대를 열었던 이 행사는 영국의 여러 박물관을 비롯해 대학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영국왕립예술학교도 그 중 하나였지요. 2007년 영국왕립예술학교는 ‘대박람회’ 150주년을 기념하며, 졸업전시회를 그에 헌정했습니다. 

2009-08-05 | 프로젝터까지 품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 일은 아니었습니다. 필름이 없어도 되는 카메라가 사람들의 손에 손에 들려 있던 시절이요. 휴대폰에 카메라가 있기는 했어도, 카메라에 비할 수준은 되지 않았고, 그렇게 카메라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기였습니다. 하지만 모두 알다시피, 작고 가볍고 부담 없어 인기를 누렸던 유형의 디지털카메라들은 이후 스마트폰에 흡수되었습니다. 오늘의 옛 소식은 스마트폰 초창기, 다른 기기를 흡수하며 생존을 모색하던 디지털 카메라의 이야기입니다.

버려진 광고판으로 만든 떠돌이 개 쉘터

태국의 동물단체 ‘스탠드 포 스트레이즈(Stand for Strays)’가 떠돌이 개를 위한 쉘터를 설치했다. 방콕과 인접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