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벨 수프, 50년만에 변신

좌) 캠벨 수프 오리지널 라벨 우) 리디자인 라벨 © Campbell’s

앤디 워홀의 팝아트 작품으로 유명한 캠벨 수프의 캔 라벨이 약 50년 만에 리디자인 되었다. 캠벨 수프의 상징인 색상(빨간색과 흰색)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지만 로고(Campbell’s)와 캔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Soup’의 폰트에서 변화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로고에서는 그림자가 사라지고 폰트의 크기 등에서 변화가 생겼다. 아래에 위치한 글자 ‘Soup’는 이전 버전과 다른 컬러와 폰트로 변화되었고, 수프의 재료인 토마토 사진이 우측에 함께 표현되었다.

캠벨 수프는 새로운 디자인을 기념하며 스트릿 스타일의 작업을 하는 아티스트 소피아 창(Sophia Chang)과 함께 첫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한 토큰)[1]를 선보였다. 소피아 창은 중앙에 새로 디자인된 캠벨 수프 이미지를 위치시키고 주변에 작가 자신과 브랜드를 표현하는 키워드를 배치했다. 소피아 창의 작품 100점은 7월 27일 NFT 마켓 NRWRK에서 판매되며, 또다른 NFT 마켓 오픈시(OpenSea)에서는 영상 작품을 만나 볼 수 있다.

소피아 창, ‘AmeriCANa-SOPHIA CHANG X CAMPBELL’S’, 2021. © Sophia Chang

이번 캠벨 수프의 라벨 리디자인에서는 그래픽 상 ‘눈에 띄는’ 변화를 주기보다, 오리지널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시대 감각에 맞게 미묘한, 그러나 전반적인 이미지의 변신을 이루었다.


캠벨 수프의 새로운 로고 디자인은 판매율이 가장 높은 상품인 토마토 수프, 치킨 누들, 크림 치킨, 그리고 크림 버섯에 적용되어 소비자에게 선보이고 있다.

[1]NFT는 이미지에 소유권,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담긴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판매한다. 부여된 코드로 인해 복제와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 희소성과 유일성이라는 가치가 담겨있어 최근 NFT가 적용된 디지털 예술품 등이 늘어나고 있다.

printmag.com
campbellsoupcompany.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03 | 기프트 라이트

스튜어트 헤이가스하면 이런저런 작은 물건들이 군집한 샹들리에가 떠오릅니다. 대표작인 ‘조류’처럼요. 2007년 오늘 소개한 ‘기프트 라이트’는 그와는 다르지만 또 아예 다르지만은 않습니다. 학교 앞 문방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캡슐 자판기의 캡슐들을 여럿 품은 커다란 캡슐로서의 조명. 어린이를 위한 선물 같은 야간 조명입니다. 

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2009-03-23 | 합판으로 그리다

공사장 울타리 역할을 하던 낡은 합판들을 거두어 작품의 재료로 삼았습니다. 브라질의 미술가 엔히키 올리베이라는 울타리로 “회화와 건축과 조각이 한데 결합된” 작품 연작을 선보였는데요. 전시회의 이름도 ‘울타리’입니다. 

2007-04-05 | IKEA의 주택 상품 ‘보클록(BoKlok)’

이케아도 무지도 집안에 둘 물건을 파는 데 머무르지 않고 집마저도 상품 목록에 더했습니다. 이케아가 건설회사 스칸스카와 함께 내놓은 '보클록(BoKlok)'은 ‘누구’에서 출발하는 집입니다. 이 집의 시작은 ‘아이 한 명을 키우는 한부모 여성’입니다. 평균 수준의 소득에 자동차는 없는 여성이요. 여기에서 조금 더 확대해 아이 한 명의 작은 가족, 이제 직장 생활을 시작해 첫 주택을 구입할 청년층, 작고 저렴하고 안전한 집을 원하는 노인 등이 보클록이 상정한 거주자의 모습이었습니다. 2019년에는 ‘실비아보’ 프로젝트를 통해 치매 환자를 위한 집을 선보이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