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에스토니아의 공간디자인 스튜디오 쿠이다스.워커스(Kuidas.works)가 제로 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을 선보였다. 이 프로젝트는 에스토니아 TV 쇼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촬영의 일환으로, 이들은 7일 안에 제로 예산, 제로 탄소발자국 콘셉트의 팝업 레스토랑을 완성하라는 미션을 받았다. 이 레스토랑은 남부 에스토니아지역의 작은 마을 에빌리안디(Viljandi)에 위치한 한 소시지 가게가 문을 닫은 후 폐허로 남겨진 자리에 지어졌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쿠이다스.워커스 그룹은 흙다짐 기법으로 다이닝 테이블의 육면체 구조를 만들고 오목한 부분을 두어 테이블 웨어로 사용했다. 전통적이면서도 가장 단순한 방식을 이용해 테이블을 완성한 것이다. 높이 1.1미터, 길이 6미터의 테이블의 무게는 약 15톤에 이른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디자인 팀은 어떻게 재료를 낭비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그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들은 인근 채석장에서 흙더미를 가져오고, 폐나무 보드로 트레이를 만들었다. 유리병의 아래쪽을 재활용해 보울을 만들고, 유리잔을 고정하기 위해 구리 관을 연결한 슬리브를 사용했다. 방송 이후, 사용된 재료중 일부는 원래 있던 곳으로 돌려보내고 일부는 향후 프로젝트를 위해 보관했다.

다이닝 테이블에 주로 사용된 다짐 흙, 점토, 모래는 흙을 다시 메우는 데 사용되거나 추후 건축 재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 소재들은 버려지더라도 환경에 해가 되지 않으며, 재활용하더라도 설치된 재료의 약 3%에 이르는 에너지만이 필요하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편리함은 우선순위가 아니었다. 무엇보다 특이한 점은 이 테이블에 의자가 놓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는 공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이고 즉각 확인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이다. 어떤 산업이 탄소발자국을 가장 많이 남기는지 주의 깊게 지켜보라는 일종의 상징적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kuidas.works

© designflux.co.kr

강예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폐기물 시대: 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버려진 재료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는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전시가 지난 20일 까지 런던에 위치한 디자인...

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2009-02-11 | AP 통신 vs 셰퍼드 페어리

2008년 미국 대선의 대표적인 이미지라 할 셰퍼드 페어리의 버락 오바마 초상이 이듬해 송사에 휘말렸습니다. 문제는 초상이 AP 통신 소속 사진 기자 매니 가르시아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소송은 2011년 합의로 마무리 되었는데요. NPR의 보도를 빌리면 합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