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Porn
xbporn

buy twitter followers
uk escorts escort
liverpool escort
buy instagram followers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바이오 소재의 재구성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전경. © Almendra Isabel / Photo : Almendra Isabel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사용을 보여주는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이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갤러리 루트(LOOT)에서 진행 중이다. 덴마크 리서치랩 스페이스10과 갤러리가 공동으로 기획한 이 전시에서는 다섯 명의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가능성과 쓰임을 연구한 결과를 선보였다. 지난 3월 루트에서 처음 오픈한 이 전시는 향후 멕시코 내에서 순회전을 이어가면서 프로젝트를 완성해 갈 계획이다.

타이나 캄포스(Taina Campos), ‘보호 물품(Articles of Protection)’. © Taina Campos / Photo : Almendra Isabel

디자이너 타이나 캄포스(Taina Campos)의 ‘보호 물품(Articles of Protection)’: 소재 재생 탐구
타니아 캄포스(Taina Campos)는 멕시코 시티에서 멀지 않은 밀파 알타(Milpa Alta) 지역 출신으로, 옥수수를 소재로 사용한 작업을 선보였다. 캄포스는 식품 사업을 통해 여성의 경제적 자립하는 것을 돕는 로컬 커뮤니티 단체 ‘대지의 여인들(Mujeres de la Tierra)’과 협력하여 작업을 진행했는데, 음식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용기 대신 옥수수를 수확하고 남은 껍질로 제작한 용기를 디자인했다.

베르틴 로페즈(Bertín López), ‘이주하는 물체(Migrating Objects)’. © Bertín López / Photo : Almendra Isabel

베르틴 로페즈(Bertín López)의 ‘이주하는 물체(Migrating Objects)’: 외래 유입 소재 활용
로페즈는 1950년대에 멕시코로 들어온 동남아시아산열대 과일 람부탄으로 가정용품을 디자인했다.지역 생태계에서 한몫을 하는 수입종의 활용 가능성을 소개함으로써 한때 낯설었던 것이 지역의 정체성이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로페즈는 말한다.

가브리엘 칼빌로(Gabriel Calvillo),  ‘꿀의 집(Homes for Honey)’. © Gabriel Calvillo / Photo : Almendra Isabel

가브리엘 칼빌로(Gabriel Calvillo)의 ‘꿀의 집(Homes for Honey)’: 비인간 종(種)을 위한 디자인
칼빌로는 멜리포나(무침 꿀벌)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에 주목하고, 고대 마야 문명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었던 양봉기술에서 가능성을 찾았다. 결과적으로 꿀벌의 밀랍을 사용해 틀을 성형하고 바로 그 곳에서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조립식 벌집 구조를 디자인했다.

카렌 커스틴 폴레인(Karen Kerstin Poulain), ‘지구와 건물(Building with Earth)’. © Karen Kerstin Poulain / Photo : Almendra Isabel

건축가 카렌 커스틴 폴레인(Karen Kerstin Poulain)의 ‘지구와 건물(Building with Earth)’: 흙 건축 시스템을 연구
폴레인은 나우칼판(Naucalpan) 지역의 흙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콘크리트의 에너지 사용량과 자원고갈을 줄이는 동시에 농업 폐기물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멕시코 화산 지역에서 발견되는 테페테이트(tepetate)와 물 그리고 쌀의 겉껍질을 결합한 합성소재를 만들었다. 저렴한 주거 공간을 짓기 위한 대안이 필요한데, 액체 형태의 흙에서 그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다고 폴레인은 말했다.

팔로마 모란 팔로마(Paloma Morán Palomar), ‘직조가보(Weaving Heirlooms)’
. © Paloma Morán Palomar / photo : Almendra Isabel

팔로마 모란 팔로마(Paloma Morán Palomar)의 ‘직조가보(Weaving Heirlooms)’: 소재의 순환에 주목
이 프로젝트는 실을 만들기 위해 타마린드(콩과에 속하는 나무) 섬유를 사용했다. 타마린드 껍질은 보통 버려지는데, 팔로마는 이 실을 사용해서 러그를 만들기로 했다. 참신한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전통 직조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지식의 회복을 위한 팔로마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space10.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버질 아블로의 마지막 루이 비통: 2022 파리 패션 위크

2개월 전 세상을 떠난 패션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Virgil Abloh)가 마지막으로 디렉팅을 맡았던 루이 비통...

2011-09-26 | 레드드레스

이 붉은 드레스 한 벌을 짓는 데 원단만 550m가 들었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거대한 드레스였을까요. 지름 20m에 높이 3m에 달하는 이 의상은 분명 옷이면서 동시에 공연장이기도 했습니다. 드레스 안에 자리한 계단을 올라 공연자가 옷을 입으면, 이제 층층의 치마폭이 관객석이 되니, 총 238명의 관객을 품을 수 있었죠. 디자이너 아무 송과 요한 올린의 컴퍼니가 선보인 초대형 ‘레드드레스’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