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오브젝트: UV

존 호건, ‘자외선’. 2021. Photo © Daniel Villarreal

모두가 자외선(UV)을 차단하려고 노력하는 이때, 샌프란시스코의 유리 공예가 존 호건은 오히려 자외선을 작품으로 끌어왔다.

지난 6월 존 호건은 ‘빛’을 탐구하여 유리 조각의 형태로 나타낸 새 작품 시리즈 ‘자외선(Ultraviolet)’을 샌프란시스코 더 퓨처 퍼펙트(The Future Perfect)에서 공개했다. 그는 전통 유리 공예 기법에 동시대의 관점을 접목하는 작업을 이어 나가고 있는데, 최근에는 ‘특수 변색 유리’를 사용한 추상적인 유리 조각과 조명 디자인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존 호건은, 눈에 보이는 빛에서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방사성 빛에 이르는 다양한 빛의 색과 모양을 탐구하여,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유리 오브젝트를 선보였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함으로써 빛으로 형태를 바꾸려고 한다”고 작품 의도를 설명하며, 자외선에 담긴 다양한 색의 스펙트럼은 빛이 인간에게 유해한 것이면서, 동시에 삶에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존 호건, ‘자외선’. 2021. Photo © Daniel Villarreal

thefutureperfect.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사무 공간의 구성: ‘원칙들(PRINCIPLES)’

렘 콜하스(Rem Koolhaas)의 건축 설계 사무소 OMA는 최근 이탈리아 사무용 가구 제조기업 유니포(UniFor)와의 협업을...

2009-04-02 | 헬라 용에리위스 전시회 ‘자연 디자인 선생’

개구리가 테이블이 되고 꽃병만이 아니라 꽃까지도 디자인했던 헬라 용에리위스의 2009년 4월 크레오 갤러리 전시 소식입니다. 올해에는 '직조된 우주'라는 이름의 전시가 베를린 그로피우스 바우에서 개막을 앞두고 있으니,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는 직조의 힘과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참고로 2021년의 전시에서도 2009년의 '개구리 테이블'이 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2010-11-30 | 스튜디오 욥 모노그래프 출간

스튜디오 욥이 걸어온 디자인 여정이 한 권의 책에 담겼습니다. 장식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 혼성 디자이너 듀오에 관한 첫 번째 연구서가 2010년 리졸리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었습니다. 이름하여 〈북 오브 욥〉, 즉 〈욥기〉에서 그들은 성서 속 인물의 이름과 스튜디오의 이름이 같다는 점을 십분 활용하여, 두 개의 욥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무질서의 디자인』 리처드 세넷, 파블로 센드라 (지은이) 

"생기 넘치는 열린 도시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즉흥적 활동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장소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