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대사관

외계인 대사관, 2021. © Hung Lu Chan

네덜란드와 대만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찬 훙 루(Hung Lu Chan)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 ‘외계인 대사관(The Embassy of Aliens)’은 주로 공상 과학 소설이나 영화에서 작가나 감독이 상상하고 구현한 기존의 외계 생명체라는 개념과 그 형상에서 벗어나, 인간이 외계인을 인식하는 대안적 상상을 유도하고 탐구한다.

외계인 대사관에서 의사소통 하는 모습, 2021. © Hung Lu Chan

‘외계인 대사관’은 인간과 외계인 사이에서 협상하는 매개체적 수단으로, 여기에서 작가는 ‘외계인의 소리(Sounds of Aliens)’라는 새로운 틀을 적용한다. ‘외계인의 소리’는 인간과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외계인 사이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일종의 악기이다. 기술적인 면에서, 이것은 인간이 외계인을 떠올릴 때 발생하는 인간의 뇌파 – 사운드 개념으로서의 파장 – 를 감지하여 ’이미지’ 같은 시각적 간섭 없이 직접 음악적 신호로 변환한다.

음악적 신호로 변환된 외계인의 소리, 2021. © Hung Lu Chan

수 세기 동안 인간은 외계인에 대해 상상해왔고, 1960년대 이후부터 과학자들은 본격적으로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SETI, Searching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를 이어오고 있다. 가장 기초적이면서 본질적인 방법은 전파망원경을 사용하여 먼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이상 신호를 찾는 것인데, 여기에서 이상 신호의 기준은 결국 인간의 기술을 기반으로 세워진 것이다. 이러한 역설을 통해 우리는 외계인에 대한 두 가지 이해 방식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인간 자신 역시 인간이 찾고 있는 외계인의 미래 중 하나라는 것, 그리고 둘째는 인간이 상상하는 외계인의 모습은 미래에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외계인 대사관 일러스트레이션, 2021. © Hung Lu Chan

현대 대중문화에서 나타나는 외계인의 모습에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소망과 욕망이 담겨 있다. 즉 외계인은 인간의 자아, 그 내면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독일의 현상학자 발덴펠스가 저술한 <외계인 현상학: 기본 개념(Phenomenology of the Alien: Basic Concepts)>에 따르면, 외계인은 인간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발생한다.

‘외계인 대사관’에서 찬 훙 루는 바로 이 논리를 따라 외계인을 시각적 형상이 아닌 다른 측면에서 다가간다. 외계인의 대리인이 되어 그 입장에서 바라보고, 궁극적으로 외계인이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다. 이와 같이 인간과 외계인의 관점을 교차함으로써, 이 프로젝트는 사람들의 고정관념과 인식에 도전하고, 다른 존재와 다른 사회, 다른 세계를 모색한다.

외계인 대사관에서 상호 작용하는 모습, 2021. Photo © Iris Rijskamp

외계인 대사관 연설과 작품 설명을 영상에서 볼 수 있다.

hungluchan.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3-18 | 페루, 국가 브랜드 공개

2011년 3월 12일, 페루의 국가 브랜드가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브랜드는 peru라는 국가명에 페루에서 발원한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나선의 모티프를 결합한 로고 그리고 그와 궤를 같이 하는 디자인의 공식 서체로 구성되었습니다. 

2011-10-26 | 도시가 연주합니다

도시의 건물들이 그리는 스카이라인이 음악을 연주한다면. 아코 골덴벨드의 ‘시티 뮤직’은 도시 건축을 색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게 합니다. 골덴벨드는 에인트호번의 축소 모형을 원통 위에 옮기고 이를 회전시켜 건반을 누르게 하였습니다. 과연 에인트호번은 어떠한 음악을 만들어냈을까요? 아코 골덴벨드의 2011년도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 졸업작품 '시티 뮤직'입니다. 

2010-06-17 | 킨들 ‘몰스킨’ 커버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 휴대용 기기 시장과 함께 서드파티 액세서리 시장도 성장했습니다. 오늘의 소식은 2010년 몰스킨이 선보인 아마존 킨들용 커버입니다. 많은 애호가에게 사랑받는 몰스킨 노트의 모습은 그대로이되 안에 킨들을 품고 있습니다. 그저 몰스킨 노트의 외양만 차용한 액세서리는 아니라는 듯, 커버의 다른쪽 면은 진짜 공책을 위한 자리입니다. 흥미롭게도 몰스킨은 제 방식대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공존 방법을 궁리해온 “공책 해커”들의 작업에서 제품 아이디어를 얻었다고요. 그렇게 “전자책벌레”를 위한 몰스킨의 제품이 탄생했습니다.

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