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질 아블로의 마지막 루이 비통: 2022 파리 패션 위크

2개월 전 세상을 떠난 패션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Virgil Abloh)가 마지막으로 디렉팅을 맡았던 루이 비통 남성복 컬렉션이, 2022 파리 패션 위크에서 공개되었다. 2018년에 루이 비통의 아트 디렉터로 발탁된 이후, 지금까지 7번의 컬렉션을 발표했고, 이번 8번째 컬렉션 ‘루이 드림하우스(Louis Dreamhouse)’를 마지막으로 버질 아블로의 루이 비통은 막을 내린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이번 패션쇼는 버질 아블로의 디자인 철학, 즉 어린 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보이후드 이데올로기(Boyhood Ideology)’ 렌즈를 통해, 남성복의 사회적 드레스 코드를 변형하고 재해석한다. 다양한 소재와 기술을 사용한 의상과, 무대 위 모델들의 초현실주의적인 몸동작은, 익숙한 것들을 추상화하면서 보는 이들의 시야를 확장시킨다.

‘루이 드림하우스’는 의상과 함께 안무, 사운드트랙, 단편 영화 등의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었는데, 그 중 특히 모델이 누비는 초현실주의적인 런웨이의 디자인과 연출이 흥미롭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파리 카로 뒤 텅플(Carreau du Temple) 내부의 ‘8계절의 아치’를 중심으로 런웨이를 배치하고 그 위에 위치한 대형 식탁에는 오케스트라가 둘러앉아 사운드트랙을 연주한다. 중앙에 대형 침대가 놓여 있는 침실에서는 가구가 흔들리면서 쓰러지고, 상승하는 계단 구조물에서는 모델들이 계단 아래로 떨어졌다가 트램펄린으로 다시 튀어 오르기를 반복한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지붕 위로 연기를 뿜어내는 굴뚝에는 모델이 매달리고 물구나무를 선다. 이러한 비현실적인 무대 장치들은 이전에 버질 아블로가 디렉팅한 루이 비통 패션쇼 가운데 특히 2020 F/W 컬렉션에서 가져온 것이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이번 패션쇼의 시노그래피는 로스앤젤레스의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플레이랩(Playlab)에서 담당했다. 2020 S/S 컬렉션부터 아블로와 함께 해 온 플레이랩은 아블로의 마지막 컬렉션을 위해 몽환적이고 역동적인 런웨이를 만들어냈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영상 © Louis Vuitton



louisvuitton.com
complex.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7-21 | 머스 커닝엄 이벤트

시각 및 퍼포먼스 예술을 지원해온 트와이스 예술 재단의 저널 <트와이스>가 처음으로 디지털 태블릿을 매체로 삼았습니다. ‘트와이스: 머스 커닝엄 이벤트’는 아이패드 앱의 형식으로 전설적인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머스 커닝엄의 작업을 제시합니다. 춤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재현하고 전달할 것인가라는 트와이스의 오랜 고민을 당시 급부상한 태블릿 환경을 기회 삼아 시험했던 사례입니다. 

2008-09-16 | 제11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수상자

2020년 팬데믹으로 많은 디자인 행사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거나 연기되었지요.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은 미루는 쪽을 택했습니다. 그것도 두 번이나요. 그래서 본래 올해는 열리지 않았을 제17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이 이제 중반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건축전이 한창인 지금, 2008년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의 수상자들을 다시 만나봅니다.

캠벨 수프, 50년만에 변신

앤디 워홀의 팝아트 작품으로 유명한 캠벨 수프의 캔 라벨이 약 50년 만에 리디자인 되었다....

2009-09-23 | 그래피티 x 도자기

포르투갈의 디자인 회사 카브라세가는 거리의 예술가들을 초청해, 그래피티와 도자기라는 있을 법 하지 않은 만남을 이뤄냅니다. ‘올 시티’는 고풍스럽고 우아한 도자기 티세트에 그래피티라는 오늘의 시각문화, 오늘의 현실을 입혔습니다. 가령 미스터데오가 티세트에 유가 상승이라는 현실을 말그대로 ‘담았던’ 것처럼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