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광고판으로 만든 떠돌이 개 쉘터

Homeless Allot Model. © Stand for Strays

태국의 동물단체 ‘스탠드 포 스트레이즈(Stand for Strays)’가 떠돌이 개를 위한 쉘터를 설치했다. 방콕과 인접한 팍 끄렛(Pak Kret) 지역에 설치된 쉘터는 버려진 광고판으로 제작되었다. 접이식 텐트 형태로 더위와 폭우로부터 유기견을 보호하고 먹이와 식수를 제공한다.

Homeless Allot Model. © Stand for Strays

쉘터는 광고판 상단을 경첩으로 고정하여 누구나 쉽게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었으며 떠돌이 개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벽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거리의 기존 풍경을 크게 바꾸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모든 구성품과 소재를 재활용•재사용하여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떠돌이 개를 돌보는 방식을 성공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Homeless Allot Model. © Stand for Strays

2016년 태국 축산개발부에서 개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00만 마리중 75만 마리가 유기되었고 그 후 유기견의 수는 현재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방콕에서만 10만에서 30만 마리의 유기견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떠돌이 개들은 거리를 배회하는 동안 가혹한 더위와 추위, 사고, 학대에 노출되기 쉽다.

จรจัดสรร.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

2007-09-05 | 접이식 인테리어 오브제

스웨덴의 폼 어스 위드 러브가 2007년 접이식 인테리어 소품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플랫팩 디자인의 극한이라고 할까요. 접기 전에는 그저 얇은 철제 평판입니다. 접기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옷걸이, 쓰레기통, 시계 등의 소품이 됩니다. 폼 어스 위드 러브는 2007년 당시만 해도 설립 3년 차의 신진 스튜디오였지만, 2020년에는 〈패스트 컴퍼니〉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 디자인 회사 명단에 올랐습니다.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