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스키마타 건축,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 2021 ⓒ Schemata architects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모습을 드러냈다. 이 세미 아키텍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수정하면서 변화해가는 미완의 건축을 일컫는다. 건물 16은 디자인, 제작, 전시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그래서 학생들의 창의력에 따라 변용이 가능하게끔 건물 전체에 공통된 규격을 적용하고, 특히 전시마다 적절히 칸막이와 가구를 유동적으로 옮길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표면의 오염을 걱정해야 하는 ‘화이트 큐브’ 공간과는 물론 거리가 멀다.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 내 전시 풍경, 2021. ⓒ Schemata architects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의 작업 공간과 전시 공간, 2021. ⓒ Schemata architects

학생들이 필요에 따라 마감재를 덧입힐 것을 가정해 석고보드에 퍼티 마감재, 스틸에 녹 방지 페인트 등 최소한의 마감재만 적용했다. 벽면 표지판은 스텐실과 스탬프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의 스탬프 벽 표지판 ⓒ Schemata architects

건물 16의 디자인 아이디어는 스키마타 건축 사무소가 파리를 방문하면서 구상되었다. 파리 시내에 위치한 역사적 건축물들은 외관의 변경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도시는 언제나 다양한 사람들의 활동과 활기로 가득하다. 이러한 파리의 모습을 관찰하던 중, 장대를 이용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장터 천막 시스템, 이동형 벤치와 화분, 오픈 카페 등 기발한 임시 구조물과 시스템을 발견하고 ‘세미’ 건축 개념을 착안했다.

스키마타 건축 사무소의 이러한 아이디어는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에 앞서 교토 시립 예술대학과 HAY 도쿄에도 구현되었다.

Schemata.jp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

우주 디자인 동아리: RISD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 착륙에 성공한 이후 멀어져 가던 일반인들의 우주에 대한 관심이 다시...

2011-06-02 | 스뇌헤타: SFMOMA 증축 설계안

지난 세기의 끝자락을 지나 이번 세기에 들어서도, 세계 곳곳에서 미술관의 신축 혹은 증축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습니다. 미술, 문화, 도시, 경제의 요구가 미술관을 교차하는 가운데, 특히 이 시기 후자의 관점에서 특정 미술관의 이름이 성공 신화로서 자주 불리우기도 했지요. 오늘의 뉴스는 2011년 발표된 SFMOMA의 증축 설계안입니다. 기존 마리오 보타가 설계한 적색 벽돌 건물 너머로 증축될 건물의 설계는 노르웨이의 스뇌헤타가 맡았고, 예정대로 2016년 5월 확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였습니다.

M+, 미술관 이상의 미술관 (more than museum)

2021년 11월 12일, 홍콩에서 아시아 최초의 현대 시각 문화(Contemporary Visual Culture) 뮤지엄 M+가 드디어...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