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루터 킹 추념 공예 프로젝트

로레타 페트웨이(Loretta Pettway), 메달리온(Medallion), 합성 직물과 면사를 누비질, 80 x 70 inches, 196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미국의 1월 셋째주 월요일은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의 업적을 기리는 ‘마틴 루터 킹의 날’이다. 올해에도 도시 곳곳에서 그를 추모하기 위한 특별 행사를 만날 수 있다. 뉴욕 브롱크스에 위치한 웨이브 힐 하우스에서는 1월 15일과 16일 양일에 걸쳐 퀼트 공예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킹 목사와 퀼트 공예라니. 그 접점이 의아할 수도 있겠다. 이 관계는 1965년 셀마-몽고메리 행진에서 유래한다. 1965년흑인 참정권을 위한 셀마-몽고메리 행진을 나선 킹 목사와 시위대는 앨라배마주의 소도시 보이킨(Boykin) 주민들에게투표권 운동을 독려했다. 이에 지역 사회 여성 공예가 단체인 ‘기스 벤드 퀼터스(Gee’s Bend quilters)’와 ‘프리덤 퀼팅비(Freedom Quilting Bee)’가 협력해 흑인 인권운동 및 셀마-몽고메리 행진을 지원했다.

제시 T. 페트웨이(Jessie T. Pettway), 수평, 수직 기둥 조각들(Bars and String-Pieced Columns), 합성 직물과 면사를 누비질, 95 x 76 inches, c. 195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60년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퀼트 공예품을 생산해 온 보이킨 지역과 인근 지역의 커뮤니티들은, 80년대 초 미국 민속학 분야에서 관심을 받기 시작해 90년 후반에 들어서는 민속 에술 분야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른다. 2002년 휴스턴 미술관에서 기획한 전시 ‘지스 벤드 퀼트 공예(The Quilts of Gee’s Bend)’에서는 여성 퀼트 공예가 42명의 작품을 선보였고, 2006년까지 미국 전역에서 순회 전시를 가졌다. 이를 계기로 보이킨의 퀼트 커뮤니티 및퀼트 공예가들은 자신과 이름과 활동을 알리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이 부족했던 보이킨 지역에 공예품 생산 및 판매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사회 경제에 공헌해 오고 있다.

2003년에는 50여 명의 퀼트 공예가가 모여 ‘기스 벤드 퀼트 공예가 콜렉티브(Gee’s Bend Quilters’ Collective)’를 창립했다. 공동체 공예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이 단체는 퀼트 공예품 생산, 퀼트 제작자들을 위한 교육과 아울러 공예 작품의 지적 재산권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힐 하우스에서 개최하는 퀼트 공예 프로그램은, 킹 목사와 흑인 인권운동에 동참한 여성 퀼트 공예가들을 기억하는 추념의 기회이기도 하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서는 퀼트 공예가 로레타 페트웨이(Loretta Pettway)의 작품을 비롯한 다수의 퀼트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버밍험 주립 도서관 구술사 프로젝트 아카이브에서도 이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1] 1949년 앨라배마주 코빙턴카운티에 있는 기스 벤드(Gee’s Bend)에 미 연방 정부가 우체국을 설립하면서 보이킨(Boykin)으로 지명을 변경하였다.

www.nytimes.com

www.wavehill.org

encyclopediaofalabama.org

© designflux2.0.co.kr

이지원

이지원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사 자료 수집을 위한 구술 연구의 방향 모색》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오늘날 비주류로 분류되는 담론 내 미시사에 관심을 두고 이를 실천적 방법으로 전달하는 작업을 실험한다. 디자인 스튜디오 겸 출판사인 아키타입(archetypes)을 운영하며 저술과 출판 활동 등을 통해 책과 기록물을 만들고 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7-27 | 안티디자인페스티벌

2010년 런던디자인페스티벌과 정확히 같은 기간에 런던에서 안티디자인페스티벌이 열렸습니다. 그 반(反)의 주역은 네빌 브로디였습니다. 당시 <잇츠 나이스 댓>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안티디자인페스티벌은 변화의 필요에서 태어났다. 무언가 새롭고 추하고 무섭고 위험한 것이 필요하다.”

2011-06-30 | 달에 빌다

2011년 3월 11일 오후, 진도 9.0의 강진이 쓰나미와 함께 일본 동부 해안을 강타했고, 그 여파로 원자력 발전소마저 폭발했습니다. 유례 없는 재난과 재앙이 한창이던 3월 19일, 밤하늘에 유난히 커다란 보름달이 떠올랐습니다.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슈퍼문의 밤이었습니다. 캄캄한 현실 속 희망의 등불처럼 떠올랐던 그 달의 기억을, 노자이너가 조명으로 재현하였습니다. 달을 빼어닮은 노자이너의 LED 조명 ‘달’입니다.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놀이 부문 수상작:

인덱스 어워드는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디자인 시상 행사입니다. ‘몸’, ‘집’, ‘일’, ‘놀이와 배움’, ‘공동체’의 다섯 가지 부문 별로 “삶을 개선하는 디자인”을 선정해 발표하는데요. 2009년 ‘놀이’ 부문상은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는 05049번이라 불리던 돼지가 도축되고 187개 제품이 되기까지, 그 쓰임새의 면면을 3년에 걸쳐 연구하여 한 권의 책에 담았습니다.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