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촉감 키트

전자 기기용 라벨 키트, 2021. © Microsoft

더 매끈하게, 더 간결하게, 전자 제품의 요철을 제거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전자 기기용 라벨 키트(The Surface Adaptive Kit)를 출시했다. 이 키트는 전자 기기와 주변 장치의 표면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종류의 촉감 라벨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 라벨, 키 캡 라벨, 컴퓨터 포트 라벨, 오프너 라벨은 각각의 사용법이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해 사용할 수 있다.

돌기 라벨은 4개의 형태와 색으로 시각적, 촉각적으로 구별한다. 전자 기기와 주변 장치의 버튼, 키, 포트 등 어디에나 부착할 수 있다.

돌기 라벨, 2021. © Microsoft

키 캡 라벨은 키보드의 키 구별을 도와준다. 반투명의 표면이 돌출되어 키 입력과 상호 작용을 손끝에 확실하게 전달한다.

키 캡 라벨, 2021. © Microsoft

포트 라벨은 서로 맞는 케이블과 포트를 연결하기 쉽게 해준다. 5개의 세트는 각각 다른 색과 돌기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짧은 라벨은 전자 기기 포트 옆에 붙이고 긴 라벨은 케이블에 감는다.

포트 라벨, 2021. © Microsoft

오프너 라벨은 노트북 상판과 후면에 부착하여 노트북을 열 때 사용하는 것으로, 중간에 U자형의 고리가 있는 라벨에는 끈을 묶어 손으로 노트북을 잡고 당겨 열기 쉽다.

오프너 라벨, 2021. © Microsoft

Microsoft.com

© designflux2.0.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9-26 | 레드드레스

이 붉은 드레스 한 벌을 짓는 데 원단만 550m가 들었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거대한 드레스였을까요. 지름 20m에 높이 3m에 달하는 이 의상은 분명 옷이면서 동시에 공연장이기도 했습니다. 드레스 안에 자리한 계단을 올라 공연자가 옷을 입으면, 이제 층층의 치마폭이 관객석이 되니, 총 238명의 관객을 품을 수 있었죠. 디자이너 아무 송과 요한 올린의 컴퍼니가 선보인 초대형 ‘레드드레스’입니다. 

2011-08-18 | 8비트 패셔너리

패셔너리는 패션 디자이너의 필수품인 패션 스케치북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패셔너리는 “패션+사전+일기”가 더해진 이름이고요. 2011년 오늘 소개한 패셔너리의 작업은 8비트 그래픽 버전의 하이패션입니다. 큼직한 픽셀로 인해 의상의 세부는 사라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알아볼 수 있는 모습을 유지한다는 점이 흥미롭죠. 패셔너리는 8비트 패션 시리즈를 포스터로도 판매했습니다. 물론 지금은 더 이상 판매되지 않지만요.

2010-09-20 | 번역

2010년, 런던을 터전 삼아 활동 중인 젊은 디자이너들이 모여 함께 전시를 열었습니다. 하나의 착상이 물리적 몸체를 얻기까지의 과정에 그들은 ‘번역’이라 이름 붙였죠. 생각이 지나온 경로와 완성된 디자인을, 또 영감의 원천이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보여주는 전시였습니다.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