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로 보내진 제프 쿤스의 작품 ‘월상(月相)’

달 착륙선 앞에서 ‘월상’ 조각을 들고 있는 제프 쿤스, 2024. © Jeff Koons

예술가 제프 쿤스(Jeff Koons)의 새 프로젝트 ‘제프 쿤스: 월상(Jeff Koons: Moon Phase)’이 탑재된 스페이스X의 달 착륙선 팰컨 9(Falcon 9)이 지난 2월 15일 플로리다주에 위치한 나사의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다. 계획에 따르면 약 일주일 후 착륙선이 달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프로젝트는 디지털 아트 기술 회사 엔에프문(NFMoon), 우주 탐사 기업 포스페이스(4Space), 페이스 갤러리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인간의 호기심과 성취욕을 달에 비추는 프로젝트 ‘제프 쿤스: 월상’은 세 개의 요소로 구성되었다. 달로 보내진 달-월상 조각(Lunar Moon Phases Sculpture)은 달 표면에, 지구에 머무르는 지구-월상 조각(Earth Moon Phases Sculpture)은 지구에 각각 설치되고, 달과 지구의 조각들에 대응하는 NFT ‘월상 NFT(The Moon Phases NFT)’가 함께 발행된다.

달 표면에 설치 될 ‘월상’ 큐브, 2024. © Jeff Koons

달로 보내는 조각은 직경 1인치의 달 미니어처 125개가 투명한 큐브 안에 구획을 나누어 배열 된 하나의 집합체이다. 각각의 달 미니어처는 지구에서 바라본 달의 위상 62개, 우주에서 달을 바라보는 모습 62개, 1개의 월식을 나타낸다.

달 미니어처 125개에는 인류 역사에 영향을 준 인물들의 이름이 붙여졌는데, 레오나르도 다 빈치부터 예수, 앤디 워홀, 버지니아 울프, 클레오파트라, 스티븐 호킹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위대한 성취를 기리는 것과 동시에 미래 세대에 영감을 불어넣고자 함이다.

‘월상 NFT(The Moon Phases NFT)’에는 달과 지구의 월상 조각과 짝을 이루는 디지털 이미지와 제프 쿤스의 시그니처가 포함된다.

지구에 남은 ‘월상’ 레오나르도 다 빈치 조형물, 2024. © Jeff Koons

지구에 남은 조각은 15.5인치 높이의 거울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달 형태의 조형물이다. 이 조형물은 달 표면에 조각이 착륙한 지점의 위치를 지구의 스테인리스 달 조형물 하단에 보석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달로 보내진 조각이 설치된 곳은 달 유적지(Lunar Heritage Site)가 되고, 지구의 달 조형물에는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에메랄드, 루비 등으로 장식된다.

우주에 예술 작품을 보내는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성공 사례가 없었기에 일주일 후 착륙선 팰컨9이 달에 무사히 착륙한다면 제프 쿤스의 작품은 최초로 달에서 공인된 예술 작품이 될 것이다.

https://jeffkoonsmoonphases.com/
https://www.nasa.gov/image-article/intuitive-machines-launches-to-the-moon/

© designflux.ac.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3-17 |〈가디언〉,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 발행

2010년 3월 15일,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을 주제로 증보판을 내놓았습니다. 제품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이 부상했고, 〈가디언〉의 이 기획은 기존 유형의 것에 적용해 왔던 굿 디자인 논의를 왜 또 어떻게 무형의 것에 적용할 것인지를 다루었습니다. 

2009-10-21 |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

지난 한 해 네덜란드에서 출간된 책들 가운데 빼어난 북 디자인의 사례들을 선정하여 한자리에 모읍니다. 네덜란드 우수디자인도서재단과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입니다. 2009년에는 어떤 디자이너의 어떤 책들이 선정되었을까요. 참고로 네덜란드 북 디자인하면 떠오르는 그 이름도 역시 있습니다. 

2007-11-08 | 존 마에다 x 리복

존 마에다와 리복의 만남. ‘타임태니엄’ 스니커즈는 그가 특별히 고안한 알고리듬과 코드를 입고 있습니다. 신발 속 가득한 공식과 수식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신발의 겉을 장식하고 있지요. 기술을 인간화하며, 컴퓨터를 자체로 하나의 매체로 삼은 디자이너이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교육자. 이 소식을 전한 지 한 달 조금 넘어, 그의 신상에 주요한 변화가 있었지요. 오래 몸담았던 MIT 미디어랩을 떠나 2007년 12월 RISD 학장에 선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2011-06-24 | 무지의 ‘즐겨요! (  )의 에너지를’

3월 11일의 대지진과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무지(MUJI)는 생각했습니다. 어쩌면 이것이 일본이 스마트 에너지 국가로 나아갈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고요. 그리고 ‘즐겨요! (  )의 에너지를!’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디자이너에게 지금의 어두움을 조금이나마 밝혀줄 에너지에 관한 아이디어를 물었죠. 디자이너들이 보내온 괄호 속 단어와 그에 관한 스케치를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