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으로 만든 시상대: 2020 도쿄올림픽

2021년 8월에 열리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컨셉으로 트로피, 메달과 같은 다양한 오브제를 보여주고 있다.

그 중 일본 디자이너 아사오 도코로(Asao Tokolo)가 24.5톤의 생활 폐기물로 제작한 시상대가 눈길을 끈다. 지난 9개월 간 일본 국민들은 일본 전역에 설치된 2,000여 개의 공병 수집 상자에 공병을 기부했다. 수집한 40만 여 병의 세탁 세제 공병은 필라멘트 소재로 재활용, 3D 프린팅 기법을 통해 올림픽 기간 동안 사용될 93개의 시상대로 재탄생했다. 이러한 공동체 프로젝트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하는 하나의 접근 방식을 제시할 뿐 아니라,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시민과 시상대 제작 과정이 함께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시상대는 작은 큐브 형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3단 시상대가 만들어진다. 또한 이 시상대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높이를 낮추고 넓고 평평한 형태로 되어 패럴림픽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코로나19 시대에 걸맞은 거리두기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아사오 도코로, 2020 도쿄올림픽 시상대, 2021. © Tokyo olympic

모듈의 패턴은 아사오 도코로가 디자인한 2020 도쿄올림픽의 로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이 패턴은 3D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패턴을 새기는 단순한 방식에서 나아가 구조적인 형태로 제작되었다.

(좌) 시상대의 모듈 구조 (우) 아시오 도코로 © Tokyo Olympic

2020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폐기물을 활용해 올림픽 행사 관련 오브제를 만드는 것 이외에도 올림픽 운영을 통해 발생하는 모든 폐기물의 65%와 올림픽을 위해 사용하는 물품의 99%를 재사용 혹은 재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olympic.com

olympic.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1-30 | 스튜디오 욥 모노그래프 출간

스튜디오 욥이 걸어온 디자인 여정이 한 권의 책에 담겼습니다. 장식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 혼성 디자이너 듀오에 관한 첫 번째 연구서가 2010년 리졸리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었습니다. 이름하여 〈북 오브 욥〉, 즉 〈욥기〉에서 그들은 성서 속 인물의 이름과 스튜디오의 이름이 같다는 점을 십분 활용하여, 두 개의 욥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디자인은 미학인가 수사학인가?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Volume 37, Issue 4 표지 ‘디자인의 설득?: 미학과 수사학 사이의 디자인론(Persuasion by...

@*%^버스: 페이스북의 새 이름 메타, 대체어 챌린지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새 사명 ‘메타(Meta)’를 발표했다....

2007-10-26 | 종이클립에서 조명으로

평범한 물건은 평범하기에 재해석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2007년 오늘은 종이클립이라는 익숙하고 작은 물건을 조명으로 옮긴 두 가지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티그의 ‘페이퍼클립 램프’ 프로토타입과, 가엘 호르스팔의 ‘네온 페이퍼클립’을 만나보시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