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Editor’s Comment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지난 5월 5일 저녁, 온타리오예술디자인대학(OCAD University)의 96번째 졸업전시회 개막식이 있었다. 이 자리에서 OCAD U의 새 시각 아이덴티티도 모습을 드러냈다. 브루스 마우 디자인(Bruce Mau Design)이 아이덴티티 개발을 맡아, 학교 측과의 협력 하에 OCAD U의 얼굴을 새로이 디자인하였다. 이를 위해 집중적인 사전 연구가 진행되었고, 더불어 재학생과 졸업생, 교수진,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 조사, 온라인 및 오프라인 토론도 이어졌다. OCAD U의 새 얼굴이 포착해야 할 학교의 정신, 가치, 이야기들을 발굴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BMD가 내놓은 시각 아이덴티티는 흑백의 픽셀 창이라 할 수 있다. 창이라는 아이디어는 알솝 아키텍츠(Alsop Architects)가 설계한 OCAD U의 대표적인 건물인 ‘샤프 디자인 센터(Sharp Centre for Design)’와도 연관된 것이다. 새 로고는 가변적인 모듈식 디자인으로, 상황에 따라 창들이 달리 배치되며 역동적인 모습을 드러낸다. 로고 속 작은 창들은 OCAD U를 들여다 보는 창문이자, 또한 학생들의 작품과 디자인을 담아내는 액자이기도 하다. 실제로 매년 졸업 메달 수상자들의 작품이 OCAD U 로고의 일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5월 5일 저녁 공개된 로고에는 2010년도 메달 수상자인 에이드리언 포로우(Adrian Forrow)와 제임스 고브뢰(James Gauvreau)의 작품이 들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마다 다른 로고들이 학교의 공식 로고 세트를 이루게 된다. “OCAD U가 성장하고 성숙해 가는 동안, 살아 있는 아이덴티티 라이브러리가 출현할 것이다. 시간에 걸쳐 학교의 문화를 형성해 온 생각, 미학을 기록하며 말이다.”

OCAD U의 새 시각 아이덴티티는 올 여름 보강 작업을 거쳐, 오는 9월부터 전면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www.brucemaudesign.com

www.ocad.ca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4-06 | 2010 상하이 엑스포 영국관

신종바이러스의 시간을 지나며 각종 행사가 취소되거나 가상으로 전환된 지금, 사상 최대의 규모를 도모했던 2010년의 상하이 엑스포에서, 유독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뉴스로 오르내린 영국의 국가관 소식을 돌아봅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섬모형 매스의 파빌리온 ‘씨앗 전당’입니다.

2010-05-31 | 팬톤 호텔

팬톤의 컬러칩은 팬톤의 주력 상품이기도 하지만, 자체로 팬톤을 상징하는 디자인 자산이기도 하죠. 컬러칩의 모양새는 팬톤과의 ‘협업’을 원하는 여러 브랜드의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또 팬톤의 자체 라이프스타일 소품군의 기반이기도 합니다. 2010년 팬톤은 브뤼셀에 호텔을 열며, 소위 ‘팬톤 유니버스’를 소품에서 공간으로 확대했습니다. 다만 더 이상 팬톤 호텔을 방문할 수는 없으니, 팬톤이 떠나고 이미 다른 호텔이 운영 중입니다.

2011-02-28 | 합판과 현대 디자인

“나무와 접착제의 층층 케이크.” 현대의 소재 중 하나로 꼽을 만한 합판의 역사를 돌아보는 전시가 2011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렸습니다. ‘합판: 소재, 프로세스, 형태’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라는 특정 시기에 집중하여 일상 용품에서 가구, 건축 모형, 비행기까지, 현대적 형태를 산업의 규모로 조형할 수 있게 해준 합판이라는 소재를 조명합니다.

2009-08-25 | 그 미용실 황량하다

철거 중인지 완성된 것인지 아리송한 실내의 상점들이 부쩍 늘어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매끈함의 정반대에 선 반폐허의 미감이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었지만, 미감을 논하기 이전에 위생을 걱정해야 할 곳들도 적지 않았지요. 2009년의 어느 ‘황량한’ 미용실 인테리어 소식을 보며, 오늘 여기의 어떤 상점들을 생각해 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