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Editor’s Comment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지난 5월 5일 저녁, 온타리오예술디자인대학(OCAD University)의 96번째 졸업전시회 개막식이 있었다. 이 자리에서 OCAD U의 새 시각 아이덴티티도 모습을 드러냈다. 브루스 마우 디자인(Bruce Mau Design)이 아이덴티티 개발을 맡아, 학교 측과의 협력 하에 OCAD U의 얼굴을 새로이 디자인하였다. 이를 위해 집중적인 사전 연구가 진행되었고, 더불어 재학생과 졸업생, 교수진,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 조사, 온라인 및 오프라인 토론도 이어졌다. OCAD U의 새 얼굴이 포착해야 할 학교의 정신, 가치, 이야기들을 발굴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BMD가 내놓은 시각 아이덴티티는 흑백의 픽셀 창이라 할 수 있다. 창이라는 아이디어는 알솝 아키텍츠(Alsop Architects)가 설계한 OCAD U의 대표적인 건물인 ‘샤프 디자인 센터(Sharp Centre for Design)’와도 연관된 것이다. 새 로고는 가변적인 모듈식 디자인으로, 상황에 따라 창들이 달리 배치되며 역동적인 모습을 드러낸다. 로고 속 작은 창들은 OCAD U를 들여다 보는 창문이자, 또한 학생들의 작품과 디자인을 담아내는 액자이기도 하다. 실제로 매년 졸업 메달 수상자들의 작품이 OCAD U 로고의 일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5월 5일 저녁 공개된 로고에는 2010년도 메달 수상자인 에이드리언 포로우(Adrian Forrow)와 제임스 고브뢰(James Gauvreau)의 작품이 들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마다 다른 로고들이 학교의 공식 로고 세트를 이루게 된다. “OCAD U가 성장하고 성숙해 가는 동안, 살아 있는 아이덴티티 라이브러리가 출현할 것이다. 시간에 걸쳐 학교의 문화를 형성해 온 생각, 미학을 기록하며 말이다.”

OCAD U의 새 시각 아이덴티티는 올 여름 보강 작업을 거쳐, 오는 9월부터 전면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www.brucemaudesign.com

www.ocad.ca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중산층의 잇템 #2 토스터 : 취향의 재구성

319,000원. 집에서 빵을 구워 먹는 가전치고는 비싼 금액이었다. 2015년 국내 출시된 발뮤다 토스터는 ‘죽은...

2007-01-26 | 길 위의 디자인

골목길에 시원한 그늘을 드리우는 차양막.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의 학생들이 만든 ‘공공공간 그늘막’입니다. 신축성 좋은 라이크라 소재로 주변 환경에 덜 구애받으며 더 유연한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렇게 태어난 유연한 형태와 밝은 색상이 골목에 그늘만큼이나 기분 좋은 활기를 더하죠. 이 차양막은 그해 열린 쿠퍼휴잇의 ‘90%를 위한 디자인’ 전시에서도 선보였습니다.

2007-06-21 | RCA 졸업전

1851년 런던의 하이드 파크에 거대한 유리 건물이 세워졌습니다. 이름하여 ‘수정궁’ 안에 만국의 산업, 문화, 예술 생산품을 선보였던 그 행사의 이름은 ‘대박람회’였습니다. 만국박람회의 시대를 열었던 이 행사는 영국의 여러 박물관을 비롯해 대학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영국왕립예술학교도 그 중 하나였지요. 2007년 영국왕립예술학교는 ‘대박람회’ 150주년을 기념하며, 졸업전시회를 그에 헌정했습니다. 

2007-10-12 | 컨테이너 일리 카페

화물 컨테이너가 버튼을 누르면 90초 만에 활짝 열리며 작은 카페로 변신합니다. 2007년 뉴욕에 잠시 머물렀던 일리의 컨테이너 카페였는데요. 컨테이너는 본래의 용도 외에도 건축의 재료로서, 그러니까 프리팹 모듈로서 자주 활용되곤 합니다. 컨테이너 건축을 전문적으로 해온 애덤 칼킨이 설계와 제작을 맡아 피어나는 작은 카페를 만들어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