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9 | 오브제 팩토리

Editor’s Comment

도자라는 오랜 매체의 산업적 성취를 되돌아봅니다. 2009년 뉴욕 MAD에서 열린 ‘오브제 팩토리’ 전은 도자 기업과 디자이너, 아티스트와의 창의적인 협업으로 태어난 새로운 트렌드, 기술, 발전의 양상을 선보이는 자리였습니다. 현대 도자 산업의 현재를 보여주었던 전시회 소식을 다시 만나 봅니다.

5.5 디자이너스, ‘앙상블 크레미에 쿨라주(Ensemble Cremiers Coulage)’ 중 No.2과 No.4, 2005 – 베르나르도 재단(Bernardaud Foundation)과의 협업 작품 

지금 뉴욕 MAD(Museum of Arts and Design)에서는, ‘오브제 팩토리(Object Factory)’이라는 이름의 전시회가 한창이다. ‘산업 도자의 예술(The Art of Industrial Ceramics)’라는 부제가 설명하듯, 현대 도자 산업이 성취한 혁신과 가능성을 탐색하는 자리다. 

“가장 전통적인 매체의 가능성을 다시 상상하다.” 오늘날의 도자 산업은 ‘산업’으로서, 더불어 역사 깊은 하나의 ‘문화’로서, 그리고 생활 속에 스며든 ‘일상’으로서 스스로를 갱신하고 있다. 전통을 자랑하는 도자 업체들은 내로라하는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들과의 협업에 적극 나섰고, 더불어 주방용 칼에서 디지털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과거에는 미처 상상하지 못했던 도자기의 새로운 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아티스트와 디자이너, 기업들의 창의적인 협업 사례들을 살피고, 그러한 과정에서 탄생한 새로운 트렌드, 기술, 발전의 양상들을 선보인다”는 것이 MAD의 설명이다.

아미 드라크 & 도브 간크로우(Ami Drach & Dov Ganchrow), ‘플러스마이너스 핫플레이트(+/- Hot Plate)’, 2003

‘오브제 팩토리’는 현대 도자 산업을 세 가지 측면에서 되짚는다. 로젠탈, 님펜부르크와 유서 깊은 도자 브랜드는 동시대 디자이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통의 재창조를 꾀한다. 로젠탈과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1]의 ‘풍경(Landscape)’ 시리즈는 가장 가까운 사례 중 하나다. 

하지만 이러한 개입의 결과가 비단 제품에 예술적 가치를 더하는 차원에 머무르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창조적인 개입’은 대량생산에 있어 급진적인 변화를 촉발하기도 한다. 색다른 커팅, 깨뜨림, 의도적인 변형, 분해와 같은 예술적 모색을 통해 새로운 생산 기법이 도입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브제 팩토리’는 세라믹과 하이테크 디자인의 결합이라는 흥미로운 경향까지도 짚어낸다. 지르코늄 세라믹, 세라믹 코런덤과 같은 신소재들은 이미 가위, 칼, 핸드밀, 토스터 등 다양한 소비자 제품에 적용되며, 도자라는 소재에 종래의 선입견을 훌쩍 뛰어넘는다.

스튜디오 욥(Studio Job), ‘비스킷 컬렉션(Biscuit Collection)’, 2006, 로얄 티헬라르 마큄
에디타 시엘로크(Edyta Cieloch), ‘스페인 레이스(Spanish Lace)’, 2008
photo: Sebastian Zimmer
인더스트레알: 이오나 보트랑 & 쥘로메 델비뉴(Industreal: Ionna Vautrin and Guillaume Delvigne), ‘구멍 뚫린 그릇(Panier Perce)’, 2006, 인더스트레알 
photo: Ilvio Gallo
교세라 어드밴스드 세라믹스(Kyocera Advanced Ceramics), ‘나키리 야채칼(Nakiri Vegetable Cleaver)’ – 산화지르코늄 소재의 주방용 칼 
photo: Kyocera Corporation
엘리샤 탈: 에얄 크레메르 & 대니 라비(Elisha Tal: Eyal Cremer & Danny Lavie), ‘노마드(Nomad)’ 세트, 2002 
photo: Eyal Cremer

이번 전시에서는 로얄 티헬라르 마큄, 로젠탈, 인더스트레알, 베르나르도 등 다수의 도자 기업들 그리고 콘스탄틴 그리치치, 5.5 디자이너스, 테드 뮐링, 헬라 용에리위스, 위르헨 베이, 콘스탄틴 보임 등의 익숙한 디자이너들의 작품 역시 만나볼 수 있다. ‘오브제 팩토리’ 전시는 8월 25까지 계속된다.

www.madmuseum.org

ⓒ designflux.co.kr


[1] 표기 정정: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 ->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체르노빌의 사라지는 로고, 살아나는 기억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한 지 35년이 지난 지금, 이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디자인된...

2008-08-11 | 올시티의 영화 포스터 디자인

올시티의 활동 무대는 영화입니다. 2000년부터 이 런던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파트너로서 인상적인 홍보물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업을 살펴보았는데요. 13년이 지난 지금, 올시티의 포트폴리오에는 영화 외에도 넷플릭스, HBO 등 스트리밍 플랫폼 상영작을 위한 작업이 눈에 띕니다. 또 전통적인 인쇄 홍보물에서 모션, 온라인 등 홍보물 자체의 매체 변화도 흥미롭고요. 영화, 드라마, TV 쇼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도 새삼 실감하게 됩니다.

2007-07-05 | 지속불가능한 장신구

모두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와중에 흐레이트여 판 헬몬트는 정확히 그 반대를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지속불가능’은 설탕으로 만든 장신구 시리즈입니다. 그토록 연약하고 지속불가능한 소재로 된 이 장신구들은 역설적으로 설탕보다 훨씬 튼튼한 소재들이 처하는 현실을 가리킵니다. 소재의 내구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제품의 교체 주기라는 문제를 말이죠. 

2011-05-16 | 바버오스거비 연구서 출간

런던 왕립예술대학교에서 만난 동갑의 두 학생은 1996년 함께 디자인 스튜디오를 설립했습니다. 바로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바버오스거비입니다. 이후 바버오스거비는 영국 산업디자인의 주요한 이름 가운데 하나가 되었죠. 2011년에는 그들의 작업을 개관하는 첫 번째 연구서가 출간되었습니다. 리졸리에서 나온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디자인 작업』이 11년 전 오늘의 소식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