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17 | 〈월페이퍼*〉, 100개의 표지

Editor’s Comment

2007년 오늘의 뉴스는 영국의 잡지 <월페이퍼*>의 ‘표지’ 이야기입니다. 100번째 잡지 발행을 맞아, 총 100가지의 표지들을 돌아보는 갤러리를 열고, 그 중 최고의 표지가 무엇인지를 <월페이퍼*>를 만드는 이들에게 묻고 또 <월페이퍼*>를 보는 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아쉽게도 이제는 표지 모음 갤러리도, 독자 투표 페이지도 사라지고 없지만, 여기 스태프들이 꼽은 다섯 개의 표지는 남았습니다.

영국의 디자인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월페이퍼*>가 100번째 제호의 발행을 기념하며 100개의 표지들을 한 자리에 모았다. 만일 당신이 세련된 라이프스타일 매거진을 찾고 있다면, 여전히 <월페이퍼*>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을 선택 중 하나다. 1996년 창간한 이래 <월페이퍼*>는 변화하는 대중의 기호 속에서도 변함없이 사랑받으며, 대표적인 잡지로 자리잡았다. 

이번에 공개된 100개의 표지 갤러리는 그간 이 잡지가 걸어온 노정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또한 표지 디자인 상의 미묘한 변화와 취향의 기호들을 살펴보기에도 좋은 기회다. 

<월페이퍼*>는 표지 갤러리 오픈과 함께, 최고의 표지를 선정하는 독자 투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내부 스태프들이 선정한 최고의 표지 이야기도 흥미삼아 둘러볼 만 하다. 그 일부를 아래 소개한다. 

2006년 10월호

2006년 10월호 
“너무도 단순하고 정직한. 심지어 잡지 표지로 보이지 않을 정도다. 대형 하드백 예술서 내지는 갤러리 카탈로그처럼 보이는 디자인이다. 스스로 진정 이런 표지의 잡지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러웠던 제호다. 그래서 표지가 구겨진 채로 있는 모습을 발견하기라도 하면, 개인적으로 모욕을 당한 기분이었다.”
– 알렉스 바그너(The Design/Art Editor) 

2007년 2월호 

2007년 2월호 
“강력한, 흡인력있는 그래픽이 ‘비밀스러운 엘리트’라는 개념을 정확히 설명한다. 또한 월페이퍼 제호의 * 기호를 영리하게 이용한 디자인이기도 하다.” 
– 제시카 퍼민(The Executive Managing Editor) 

1999년 10월호 

1999년 10월호 
“왜냐고? 이 표지는 <월페이퍼*>가 예시해온 젊음, 유희, 글래머러스, 최신 그리고 모험가득한 라이프스타일을 전형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커버에 인물을 기용해 잡지에 일종의 얼굴을 부여하기도 했다. 나는 이 캠프적 감수성의 커플을 사랑한다. 그들을 다시 불러들여야 한다!” 
– 페이-루 케(The Office Manager) 

2001년 7-8월호 

2001년 7-8월호 
“스위스의 한 장인이 특별 제작한 나무 집. <월페이퍼*> 연례 ‘디자인 디렉토리’ 특집호를 현실화하기 위해 투입된 시간과 숙고의 결과물.” 
– 제임스 레이드(The Photography Editor)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2009-03-25 | 구글에서 보낸 3년

2006년 디자이너 더글러스 바우먼은 구글에 합류하며, 시각디자인리더로서 팀을 꾸리고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구글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면서 “엔지니어들의 회사에서 전통적인 디자이너가 부딪힌 한계”를 소회한 글을 남겼죠. 물론 그가 떠난 당시의 구글과 지금의 구글은 다른 모습일 테지만만, 여전히 디자이너 대 개발자, 디자이너 대 엔지니어 등 서로에 대한 몰이해의 일화가 심심치 않게 회자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2011-03-14 | 소재 탐구: 젤포

어떤 디자인은 소재에서 출발하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젊은 디자이너 엘리제 가브리엘은 ‘포옹’이라는 이름의 컬렉션을 통해 ‘젤포’라는 이름의 신소재를 제품 디자인에 끌어 안습니다. “예측을 뛰어넘는 의외의 요소가 매력”이라는 이 낯선 소재가 테이블, 의자, 조명처럼 익숙한 사물에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2011년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2010-09-28 | 집전화기입니다

풍크트는 2008년 뛰어난 디자인으로 오래 사랑받을 디자인의 일상적 전자제품을 선보이겠다는 포부로 설립된 스위스의 회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이 선보인 첫 번째 제품은 가정용 전화기였고, 회사의 아트 디렉터로 영입한 디자이너는 재스퍼 모리슨이었습니다. 풍크트는 이후로도 무척 단정한 모습의 USB 충전기, 멀티탭, 물리 키패드를 여전히 지닌 휴대폰, 알람 시계 등을 통해 단순함을 제품화하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