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12 | 독일, 복제품 전시관 오픈

Editor’s Comment

표절, 도용, 복제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아예 그런 제품을 시상하고 전시하는 방식으로 불명예를 안기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7년 오늘자 뉴스는 독일의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 연 표절 제품 전시관 소식입니다.

혁신적 아이디어 뒤에는 반드시 모방과 짝퉁이 뒤따른다. 정보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오랜 시간과 노고를 들여 이룩한 혁신적 아이디어가 표절에 의해 물거품이 되고 마는 일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가 발명가의 그것처럼 중요한 산업 디자인 분야에서 저작권 침해는 치명적인 결과를 낳기도 한다.

지난 4월 1일 독일의 솔리겐 지역(쾰른 인근)에, 오리지널 창작물의 권익을 보호하고 모방을 근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복제품 전시관(Museum Plagiarius)’이 문을 열었다. 전시관에는 총 300점의 오리지널 제품과 복제품이 나란히 전시되어 있다. 

프랑스 파리에도 이와 유사한 ‘표절 박물관(Musee de la Contrefacon)’이 있다. 하지만 파리 박물관의 경우 루이뷔통, 리바이스, 구찌 등 거대 브랜드의 복제품을 전시하는데 비해, 솔리겐의 복제품 전시관에서는 주로 중소기업의 제품과 그 복제품을 전시하면서, 자체적인 법적 보호 장치가 미약한 회사들의 피해 사실을 알리고, 이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캠페인을 펼친다.

전시관의 큐레이터이자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Aktion Plagiarius)’ 단체의 운영위원인 크리스틴 라크루아(Christine Lacroix)는 디자인 회사를 대상으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법률 자문과 표절 방지 교육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오리지널: ‘소피 저그(Sophie Jug)’, 알피 베르트하임(Alfi, Wertheim), 독일
복제품: 허 샨 지아 후이(He Shan Jia Hui) 진공플라스크 용기, 중국, 광저우
-2007년 표절상 1등 수상

박물관의 공동설립자인 리도 뷔세(Rido Busse)는 해마다 최고의 표절자를 선정하여 ‘표절상(Plagiarius award)’을 수여하는 흥미로운 이벤트를 펼치고 있다. 이 아이디어는 1977년 자신이 디자인 한 제품이 일본 회사에 의해 복제되는 것을 경험하면서, 공개적으로 표절자에게 망신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궁리한 끝에 나온 아이디어였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실제 하노버 박람회에서 1명의 기자를 앞에 두고 표절자에게 직접 트로피(금색 코를 가진 검정색 난장이 모양)를 수여했다는 것이다. 이를 계기로, 창작물을 복제 당한 회사들이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이듬해에는 더 많은 기자단이 모인 자리에서 성대한(?) 표절상 시상식을 거행하게 되었다.

오리지널: ‘몰스틴 노트북’, 몰스킨, 이탈리아, 밀라노
복제품: 아르스 노바(Ars Nova), 독일, 바텐 
-2007년 표절상 2등 수상
오리지널: ‘러브시트’, 데돈(Dedon), 독일(뤼네부르크)
복제품: 안틱 하일리겐슈테텐(Antik Heiligenstedten), 독일(헬링엔슈테텐)
-2007년 주목할 만한 표절

올해부터는 공식 심사위원단을 구성하여 최고 표절 디자인을 선정, 매년 2월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무역박람회에서 시상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아시아의 회사들이 이 불명예스러운 수상자 리스트에 자주 오르고 있지만, 이에 못지 않게 많은 유럽 회사들도 대열에 끼어 있다.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나 복제품 전시만으로 복제품 생산을 근절시킬 수는 없지만, 꾸준한 교육과 캠페인 등이 장기적으로는 저작물을 보호할 수 있는 울타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표절상 심사위원단
2003년 표절상 2등 수상작 ‘하트 바스켓(Heart Basket)’, 서울

머그컵과 미니 스낵 접시를 결합한, 칼라 투어링엔 도자기회사(KAHLA/THUERINGEN porcelain GmbH)의 오리지널 제품 복제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2010-09-09 | 부룰렉 형제, 알레시와 만나다

부룰렉 형제와 알레시가 처음 만나 함께 식기 컬렉션을 내놓았습니다. 전통적이고 소박하되 섬세한 표현을 더하여, 네모와 동그라미 사이에서 조금씩 모양을 달리하는 타원의 식기들이 한가족을 이룹니다. 그렇게 탄생한 '오벌' 컬렉션이 2010년 오늘의 소식입니다.

2006-12-06 | 톰 딕슨과 라코스테의 만남

푸마와 마르셀 반더르스 그리고 라코스테와 톰 딕슨. 패션 브랜드가 패션 바깥의 디자이너에게 협업을 청했던 2006년의 소식들입니다. 라코스테가 매년 패션계 바깥의 디자이너와 함께 클래식 폴로 셔츠의 재해석을 진행하기로 하고 찾은 첫 번째 인물이 바로 톰 딕슨입니다. 그는 소재와 기술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렇게 ‘에코 폴로’와 ‘테크노 폴로’가 탄생했습니다.

2011-01-18 | 전시회 ‘큐빅스’

그리드의 입체판이라 해야 할까요? 정육면체를 기본 단위로 삼아 큐브 패턴의 원리를 찾고, 이를 디자인의 방법론으로 삼았던 두 사람이 있었습니다. 얀 슬롯하우버르와 빌리암 흐라츠마는 우표에서 가구까지 큐브 패턴의 응용 가능성을 활짝 펼쳤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2000년대 들어 뒤늦게 재발견되었는데요. 2011년의 ‘큐빅스’도 그러한 맥락에서 열린 전시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