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07 | 아이디어 콘센트 & 플러그 디자인

Editor’s Comment

2009년 RCA 졸업전시회에 등장한 플러그와 콘센트. 각각 다른 사람의 작업이 뜻밖의 한 쌍을 이루었으니,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와 조지 모어낵의 ‘울트라 리드’입니다. 최민규는 영국의 3핀 플러그를 접이식으로 한층 날렵하게 변모시켰고, 이를 십분 활용한 플러그형 멀티탭도 디자인하였습니다. 조지 모어낵은 각기 다른 형태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연장하는 멀티형 콘센트를 선보였고요.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 소식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듬해 영국 디자인 뮤지엄이 수여하는 ‘브릿 인슈어런스 디자인 어워즈’에서 제품 부문 수상에 이어 ‘올해의 디자인’으로 선정되었고, 2012년부터는 (Mu)라는 이름으로 제품화되어, 영국식 플러그는 물론 유럽, 미국 등 다른 지역의 플러그까지도 접이식 디자인으로 구현하여 출시했습니다.

RCA의 2009년도 졸업전시회가 한창인 요즘, 몇몇 작품들은 여러 디자인 매체들에 동시에 오르내리며 화제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비슷한 아이템에 대한 재치 있는 해석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눈에 띄는데, 접이식 플러그와 모듈식 전원 콘센트가 그것이다. 

먼저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Folding Plug)’는 간결하면서도 실용성 높은 디자인으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는 영국에서 사용되는 3핀 플러그를 좀 더 ‘날씬하게’ 리디자인했다. 플러그는 접이식으로, 접어둔 상태의 너비는 단 1cm에 불과하다. 사용시에는 플러그를 펼치고, 두 개의 핀이 달려 있는 부분을 90도로 회전하면 여느 3핀 플러그와 동일한 형태가 된다. 

최민규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일종의 ‘멀티탭-플러그’까지 선보였다. 그 크기나 형태는 일반 3핀 플러그와 유사하지만, 플러그 옆면에‘접이식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소켓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최대 3개까지 ‘접이식 플러그’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두 개의 USB 소켓도 유용할 것이다. 

한편 조지 모어낵(George Moanack)은 모듈식 어댑터 시스템을 선보였다. ‘울트라 리드(Ultra Lead)’는 콘센트에 맞는 멀티 플러그 대신, 여러 형태의 플러그를 소화할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라 할 수 있다. 영국, 유럽, 미국 등 서로 다른 형태의 플러그 및 USB 등에 맞는 콘센트를, 하나하나 모듈식으로 연결하여 확장하게 된다. 

RCA발 아이디어 플러그와 콘센트. 지극히 일상적인 아이템에 대한 신선한 접근이 돋보이는 작품들이라 하겠다. 

www.minkyu.co.uk
www.g-moanack.com
www.rca.ac.uk

via iconeye,  dezee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23 | 탑승권 리디자인 릴레이

코로나19를 지나며 가장 먼저 여행이 ‘멈춤’에 돌입했고, 어느 머나먼 곳으로 떠나는 항공권을 들던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뉴스로 ‘항공권’ 이야기를 골라보았습니다. 어째서 항공권을 손에 들고서도 우왕좌왕하게 될까. 표를 언제 왜 들여다보게 되는가를 중심으로, 탑승권의 정보에 순서와 강조점을 부여한 어느 개인의 리디자인 제안과 그에 이어지는 릴레이입니다.

2011-07-22 | 까르띠에 타임 아트

까르띠에의 대표적인 시계들이 취리히의 한 뮤지엄에 모였습니다. ‘까르띠에 타임 아트’는 1929년의 ‘토르튀’에서 최근의 ‘산토스 100 스켈레톤’에 이르기까지, 총 100여 점의 까르띠에 시계가 관람객을 맞이했습니다. 전시의 아트 디렉팅은 2009년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있었던 ‘이야기… 까르띠에 작품에 관한 기억들’로 이미 까르띠에와 인연을 맺었던 토쿠진 요시오카가 맡았습니다.

2010-09-09 | 부룰렉 형제, 알레시와 만나다

부룰렉 형제와 알레시가 처음 만나 함께 식기 컬렉션을 내놓았습니다. 전통적이고 소박하되 섬세한 표현을 더하여, 네모와 동그라미 사이에서 조금씩 모양을 달리하는 타원의 식기들이 한가족을 이룹니다. 그렇게 탄생한 '오벌' 컬렉션이 2010년 오늘의 소식입니다.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