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QUID3: 공기를 정화하는 액체 나무

베오그라드 마케돈스카 길( Makedonska str, Belgrade)에 설치된 ‘리퀴드3(LIQUID3)’. © LIQUID3

지난해, 베오그라드 대학(University of Belgrade)의 융복합 연구 기관에서 나무처럼 공기 정화 역할을 하는 광생물 반응기 ‘리퀴드3(LIQUID3)’ 디자인에 성공했다. 세르비아의 수도에 설치된 리퀴드3은 수조 형태의 용기로, 자연광을 이용해서 광영양 미생물을 풍부하게 하고 탄소를 분리하면서 산소를 내뿜는 광합성 작용을 활발하게 한다.

각 용기에는 총 600리터의 물이 담겨있어서 리퀴드3을 설치하면 10년 된 나무 두 그루 혹은 200제곱미터의 녹지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버금가는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추운 겨울에도 광원만 있으면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광합성을 할 수 있고 녹지가 부족한 도심에서 탄소를 흡수하는 나무의 역할을 해낼 수 있다.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리퀴드3’. © LIQUID3

리퀴드3은 2022 그린 프로덕트 어워드(Green Product Award)에서 그린 콘셉트 어워드(Green Concept Award)를 수상하였으며, 무엇보다 혁신적인 그린 디자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지속 가능한 디자인이라는 특징 외에도, 공공 용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면서, 인터랙티브 광고를 위한 공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또한 리퀴드3은 베오그라드의 인구 밀집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후 위기가 도시환경에 어떤 위협을 가하는지에 관한 시민들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작은 만남의 장소로 기능하는 ‘리퀴드3’. © LIQUID3

리퀴드3 스테이션은 도시 속 작은 만남의 장소로도 기능한다.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콘센트도 설치되어 있으며 날이 어두워지면 형광 초록빛의 조명이 켜져 가로등의 역할을 한다.

형광 초록빛의 조명이 켜진 ‘리퀴드3’. © LIQUID3

liquid3.rs
yankodesign.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24 | 이르마 봄 회고전

책들이 전하는 북 디자이너의 바이오그래피. 2010년 이르마 봄의 첫 번째 회고전이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열렸습니다. <네덜란드 우표 87+88>을 비롯해 이르마 봄의 대표적인 작업들을 대거 선보인 전시와 함께, “작지만 방대한” 모노그래프도 발간되었는데요. 3.8 x 5cm의 초소형 크기에 결코 작지 않은 이르마 봄의 작업 세계를 담았습니다. 

2006-08-16 | 역대 최고의 PC, ‘애플 II’

2006년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PC 월드〉 매거진이 역대 최고의 PC 25개를 꼽았습니다. 혁신성, 영향력, 디자인, 차별성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이 목록에서 가장 윗자리를 차지한 컴퓨터는 ‘애플 II’입니다. 1977년 출시된 애플 II는 “최초도 최첨단도 당시 가장 잘 팔린 모델도 아니었지만, 여러 모로 모든 것을 바꾸었던 기계”였다는 것이 〈PC 월드〉의 평이었습니다. 그렇게 애플 II는 개인용 컴퓨터라는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는 데 크게 기여했죠. 

2011-02-07 |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 수상자

2021년 크리스토퍼 케인의 여성복 S/S 컬렉션은 그림들을 입고 있었습니다. 크리스토퍼 케인은 코로나19가 강제한 록다운 시기에 그림들을 그렸고, 그림은 프린트가 되어 그의 컬렉션을 이루었죠. 오늘 소개할 옛 뉴스는 그가 유망 디자이너였던 시절의 소식입니다. 2008년부터 브리티시 패션 카운슬은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라는 이름으로 유망한 패션 디자이너의 성장을 지원해왔는데요. 2011년도 수상자가 바로 크리스토퍼 케인이었습니다. 

2011-05-31 | 스킨

“동물은 네모반듯하지 않으며, 그 가죽도 마찬가지다.” 디자이너 페퍼 헤이코프는 가죽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들쭉날쭉하고 흠집 난 가죽 조각들을 이어붙여 중고 가구에 입혔습니다. 한때 살아 있는 생물의 피부가 주인 잃은 가구의 피부가 된 셈이지요. 새로운 피부가 씌워지며 만들어진 울퉁불퉁한 외곽선과 거친 이음새가 무언가 기묘한 생명체의 인상을 줍니다. 5월의 마지막 날인 오늘의 뉴스는 페퍼 헤이코프의 ‘스킨’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