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05 | IKEA의 주택 상품 ‘보클록(BoKlok)’

Editor’s Comment

이케아도 무지도 집안에 둘 물건을 파는 데 머무르지 않고 집마저도 상품 목록에 더했습니다. 이케아가 건설회사 스칸스카와 함께 내놓은 ‘보클록(BoKlok)’은 ‘누구’에서 출발하는 집입니다. 이 집의 시작은 ‘아이 한 명을 키우는 한부모 여성’입니다. 평균 수준의 소득에 자동차는 없는 여성이요. 여기에서 조금 더 확대해 아이 한 명의 작은 가족, 이제 직장 생활을 시작해 첫 주택을 구입할 청년층, 작고 저렴하고 안전한 집을 원하는 노인 등이 보클록이 상정한 거주자의 모습이었습니다. 2019년에는 ‘실비아보’ 프로젝트를 통해 치매 환자를 위한 집을 선보이기도 했지요.

지난 12월 IKEA의 영국 주택시장 진출 소식을 전한 바 있다. BoKlok은 IKEA가 직접 공급하는 주택 상품으로, 스웨덴에서는 이미1996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총 3,500여 채가 보급되었다. BoKlok은 모던하면서도 경제적인 스타일의 주택으로, 특히 젊은 가족이나 이제 막 새 보금자리를 꾸리려는 커플층에 어필해왔다.

지난 달 스코틀랜드 게이츠헤드(Gateshead) 의회의 승인을 받으며, 마침내 IKEA의 영국 내 첫 주택단지가 구체적인 진행 작업에 돌입했다는 소식이다. 1단계로 세인트 제임스 빌리지(St James Village)에 36채의 플랫이 들어서고, 이후 117채의 주택이 뒤이어 건축될 예정이다. IKEA 측은 오늘 6월 착공, 연말 완공 일정을 기대하고 있다. 

영국에 들어설 BoKlok 단지는 플랫과 테라스드 하우스(우리나라의 연립주택과 유사하다)의 두 가지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침실2~3개 정도의 테라스드 하우스의 분양가는 10만 파운드 이하 수준이다. 모든 BoKlok 주택에는 태양열 전지 패널, 에너지 절약 난방 시스템 등이 구비되어, 연간 15,000~30,000 파운드 정도의 절약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BoKlok은 스웨덴 평균 가정의 주거 모습, 경제 수준 등을 면밀히 고려한 제품이다. <가디언>의 리뷰를 일부 인용하면, “이케아는 건축가들이 아닌 연구자들에게 손을 내밀었다”. 즉 자신들의 상품이 지표로 삼아야 할 모델은 무엇인지를 면밀한 연구와 조사를 통해 수립했고, 그에 따라 BoKlot의 규모와 분양가 등을 책정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매우 논리적일 뿐만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이다. 

스웨덴 전역에 위치한 IKEA 매장에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소비자들이 우선시 하는 주택의 필수 요건을 파악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그 결과 BoKlok은 ‘안전하며, 소규모의, 전원 환경과, 이웃과의 친밀함이 강조된’ 주택으로 구현되었다. 더불어 친환경 소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역시 자재 선택에 반영했다. 

그리고 IKEA는 이러한 선호가 영국에서도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 듯 하다. 특히나 과열된 주택 경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현재 영국의 상황 속에서, BoKlot은 충분히 어필할 만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평이다. 그런 만큼, 조만간 영국 어느 마을에서라도IKEA의 ‘집’을 발견하게 될 지도 모를 일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18 | 새들에게 만찬을

새들을 위한 격식 있는 상차림. 디자이너 프레데릭 로이예의 ‘디시 오브 디자이어’는 본차이나와 레드시더우드 소재의 접시들이 층층이 매달린 새 모이통입니다. 몇 가지 ‘코스’의 차림인가, 즉 몇 개의 접시로 이뤄졌는가에 따라 모두 네 가지 종류로 구성되었죠. “깃털 달린 친구들”을 위한 멋진 소품입니다.

2011-10-07 | 아이시포스터

아이시포스터는 전 세계의 오리지널 빈티지 포스터를 판매하는 곳입니다. 하지만 주력은 60~70년대 폴란드의 영화 포스터입니다. 폴란드의 시각 문화에 있어 포스터가 차지하는 자리는 독특합니다. 영화 포스터도 정말로 색다르죠. 영화의 주요 장면나 주역들의 얼굴이 주를 이루는 전형적인 포스터는 오히려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아이시포스터에서 폴란드 포스터 특유의 매력을 다시금 확인해보시죠. 

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9-09-29 | 노마 바의 IBM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이스라엘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노마 바는 무엇보다도 ‘네거티브 스페이스’를 활용하기로 유명합니다. 2009년에 출간한 작품집의 제목도 <네거티브 스페이스>였을 정도로요. 대상과 배경이 서로 자리 바꿈하며 펼치는 이중주. 여기 IBM을 위한 광고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노마 바의 장기가 유감 없이 발휘됩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