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1년, 디자인의 변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 19의 팬데믹을 선언한 날이 2020년 3월 11일이니, 공식적으로 전세계인들의 발이 묶인지 1년 2개월이 지났다. 팬데믹 선언 이후, 미디어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디자인에 대해 끊임없이 다루어 왔는데, 2021년에 들어서는 진전된 소식을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이제는 뉴스의 토픽이 아니라 좀 더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각종 세미나나 심포지움의 주제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일까. 이 논의에 동참하기 위해 그간 디자인계에서 주로 어떤 움직임들이 있었는지 돌아본다. 여러 변화 가운데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는 대단히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 그 부분은 잠시 미뤄두기로 하자.

머티리얼라이즈, ‘핸즈프리 도어 오프너’, 3D 프린팅

2020년 팬데믹이 선언된 이후 초기, 감염병에 대한 대응 방식이 체계화되기까지 마스크와 의료진들의 안전복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소위 명품 브랜드들까지 동참하여 의료 품목을 생산하는 일이 일어났다. 부족한 생산라인을 보충하기 위해 영국의 패션계에서는 Emergency Designer Network (EDN, 2020. 3)이 구축되었고, 당시 감염자와 사망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던 이탈리아에서는 건축가들이 컨테이너를 임시 병원 시설로 개조하는 일에 나서기도 했다. 그 외 3D프린팅(페이스 쉴드, 인공호흡기)과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한 각종 의료 기구와 접촉을 방지하는 센서 장치 등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디자이너들은 자가 격리 조건에서 일상 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방식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업무가 가능한 주거 환경 설계가 필요한지,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도로를 더 넓혀야 할지, 타인과의 거리 유지가 어려운 건물이나 엘리베이터와 결별하고 주로 야외에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지. 이러한 고민은 삶의 환경, 주로 도시 환경의 변화로 이어졌다. (주거 환경에서는 업무 시설, 운동 시설과 공기 정화 장치가 급속히 증가했다.)

초기에는 사람들이 집중적으로 모이고 왕래하는 도심 지역이 폐쇄되면서, 대도시의 중심과 주변 지역 간의 사회경제적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기회라는 전망이 제기되기도 했다. 물론 아직 그러한 조짐이 눈에 띄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2020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교통 시스템이다. 이미 자전거가 교통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유럽 국가들에서는 한층 더 적극적으로 자전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로 시스템을 그에 맞게 정비하기 시작했고, 기존의 차로를 자전거 전용 도로로 변화시키는 사업을 진행하던 도시 사업에도 속도가 붙었다. (뭄바이, 멕시코시티 등) 한편 자동차 위주로 생활하는 대부분의 미국 지역에서는 자동차를 일상적 격리 장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변화시키는 데 주목했다. (자동차 극장 확대, 주차장 야외 예배 등)

파리 언 셀르에서 구상한 파리의 팝업 ‘코로나 사이클웨이’ 

그리고 사업상 가장 타격을 크게 입은 업종 중에 하나인 요식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으로 야외 공간 즉 공공공간을 활용하는 방안들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물론 시민들이 격리 생활의 답답함을 해소하는 문제와도 연관된다. 충분한 간격을 두고 2-4명이 앉을 수 있는 테이블을 다양한 형태로 구축하는 디자인(시애틀, 뉴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런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보도나 야외 주차 공간 사용에 관한 협의라는 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야외 공간만 확보하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는 팝업 형태의 식당 시설도 시도되고 있다. (미국 유타 주) 아울러 공원 같은 공공 여가 공간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경을 통해 활동 영역을 제한하여 사회적 거리를 둘 수 있게 유도하는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다. 

실내 영업 중지령에 따라 야외에 설치된 대안적 식당, 샌프란시스코
아다 코틴스카(Ada Kotynska), 폴란드 엘블라크, 거리두기가 가능하도록 바둑판 형태로 심은 잔디

대한민국으로 눈을 돌려보면, 대지 규모에 비해 자동차 운행 비율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유럽형 자전거 운행 확대 방안도, 미국형 자동차 중심 생활 공간 확대도 쉽지 않다. 통행로나 주차 공간을 인근 영업장에서 사용하는 일은, 적어도 수도권에서는 불가능해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는 각종 스마트 기기가 장착된 청정 구역인 자기만의 공간에서의 삶을 무조건 수용해야 하는가. 아니면 우리 상황에 적합한 모델을 찾아야 한다는 무의미한 결론에 도달할 수 밖에 없는 것인가. 실내 공기청정기나 접촉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시스템 디자인은 앞으로도 큰 장애물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보다 앞으로 우리의 사회적 삶은 어떤 형태가 될 것인지, 또 이 맥락에서 공공공간의 의미와 사용 주체에 관한 실효성 있는 논의가 바로 이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코로나 19와 디자인 관련 기사 링크 ➲

Instagram-worthy’: Covid-19 predicted to change design of Australian universities’, The Guardian (2021. 2. 10)

’10 Covid-busting designs: spraying drones, fever helmets and anti-virus snoods’, The Guardian (2020. 3. 25)

Architect in Italy turns shipping containers into hospitals for treating Covid-19’, The Guardian (2020. 3. 27)

Smart lifts, lonely workers, no towers or tourists: architecture after coronavirus’, The Guardian (2020. 4. 13)

Sensor taps and no door handles: Covid-19 shows it’s time to rethink public toiles’, The Guardian (2020. 5. 3)

Will Covid-19 show us how to design better cities?’ The Guardian (2020. 5. 24)

Coronavirus: The 3D artists helping fashion through Covid-19’, BBC (2020.5. 24)

Pandemic production: when design is a matter of life or death’, The Guardian (2020. 6. 6)

Coronavirus: Designer develops mobile plastic shield’, BBC (2020. 6. 19)

Building Public Places for a Covid World’, The New York Times (2020. 9. 15)

 ‘From garden streets to bike highways: four ideas for post Covid cities – visualized’, The Guardian (2020. 9. 25)

Design for the Future When the Future is Bleak’The New York Times (2020. 9. 28)

Coronavirus and Home Design’, The New York Times (2020. 10. 22)

Redesigning the world with COVID-19’, BBC (2020. 10. 26)

‘Toshiko Mori talks designing pandemic-resilient cities for BBC’s The Conversation podcast’, BBC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2020. 11. 19)

’14 clever COVID-19 design solutions from around the world’, Los Angeles Times (2020. 12. 29)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1-10 | 네덜란드의 상징을 담은 우표 컬렉션

지난주 미국 산업디자인 역사를 담은 우표를 소개했다면 오늘은 네덜란드의 상징들을 담은 우표입니다. TNT 포스트의 의뢰로 우표 디자인에 나선 스타트는 튤립이나 스케이트 같은 전통적인 상징 외에도, 부가부의 유아차라던가 테요 레미의 ‘우유병 램프’ 같은 현대의 상징을 모아, “네덜란드의 DNA”를 담은 12장의 우표 컬렉션을 선보였습니다. 

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10-06-28 | 〈그래픽〉 매거진 발행 중단

〈i.d.〉 매거진이 마지막 호로 작별 인사를 던진 2010년, 또 하나의 디자인 잡지가 기약 없는 휴간이라는 비보를 전했습니다. 영국의 격월간지 〈그래픽〉이 발행사의 경영 악화로 발간을 중단한 것인데요. 편집진의 노력으로 8개월 뒤인 2011년 2월, 새로운 발행사를 맞이하며 새출발을 하였지만, 안타깝게도 2011년 12월 또 다시 폐간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현재 〈그래픽〉은 grafik.net으로 둥지를 옮겨, 격년지로 부활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