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5 | 메탈 셔터 하우스

Editor’s Comment

뉴욕 웨스트 첼시의 아트갤러리 지구에 자리한 이 11층짜리 주거용 건물은 차분하고 반듯하지만, 동시에 동적인 면모를 지녔습니다. 건물의 전면에 달린 천공을 낸 금속의 셔터가 닫힘과 열림을 통해 건물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합니다. 개별 가구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빛을 조절하는 실용적인 요소이면서, 건축적으로는 변화하는 외벽이라는 개념의 구현이기도 했죠.

종이 건축으로 잘 알려진 일본의 건축가 시게루 반이 뉴욕 첼시의 한 주거용 빌딩의 디자인을 맡았다. 웨스트 첼시 아트 갤러리 구역에 들어서는 이 아파트는 사실 주변에 놀라운 이웃들을 두고 있다. 바로 옆에는 프랭크 게리가 디자인한 IAC 본사가 들어서 있고, 바로 그 건너편에는 현재 장 누벨이 디자인한 건물이 들어서고 있다. 이 블록은 새로운 뉴욕의 대담한 얼굴을 만들어가고 있는 현장인 셈이다. 

시게루 반의 이 아파트는 총 9채의 복층식 주택들이 들어서게 된다. 적어도 규모로 보는 이를 압도하는 그러한 종류의 프로젝트는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 이 건물은 웨스트 첼시의 또 하나의 명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건물의 파사드는 모터 방식으로 작동하는 금속 셔터로 구성되어 있다. 거리 쪽에 면한 창과 테라스를 개폐할 수 있는 메탈 스킨이 건물의 표면을 역동적으로 변모시키는 것이다. 이 건물은 아마도 셔터가 완전히 내려진 후에는 미니멀한 큐브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시게루 반은 ‘커튼 월 하우스’와 같은 작품을 통해 건물의 외벽 개념을 새롭게 제시한 바 있다. 이번 ‘메탈 셔터 하우스’는 비록 하늘거리는 커튼이 아닌 단단한 금속이기는 하나 커튼의 또 다른 연장으로서, 건물의 외벽에 변화를 불어넣는다. 또한 복층형 주택으로 자연스레 높은 창과 테라스가 강조된 구조인 만큼, 셔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주거자들이 직접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이기도 하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2007-10-26 | 종이클립에서 조명으로

평범한 물건은 평범하기에 재해석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2007년 오늘은 종이클립이라는 익숙하고 작은 물건을 조명으로 옮긴 두 가지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티그의 ‘페이퍼클립 램프’ 프로토타입과, 가엘 호르스팔의 ‘네온 페이퍼클립’을 만나보시죠. 

2007-05-23 | 잘못된 가게

들어오라면서도 문은 닫았다는 가게, 영예로운 미술가와 디자이너들의 작품이 가득하지만 전체를 통째로 사지 않는 한 아무 것도 살 수 없는 가게. 2007년 뉴욕 디자인 위크 기간에 문을 연 첼시의 ‘잘못된 가게’입니다.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과 큐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그레고리 크럼이 만든 이 이상한 가게는 두 달 동안 한시적으로 자리를 지켰습니다. 

2010-08-20 | 듀폰 상하이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 오픈

2010년 상하이에 듀폰의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가 문을 열었습니다. 듀폰이 개발한 이 인조대리석은 건축에서 가구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활용됩니다. 그리고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는 바로 이 소재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이해 태어난 공간이고요. 홍콩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영국 출신의 디자이너 마이클 영이 실내 디자인을 맡아, 가구에서 벽체까지 코리안®을 십분 활용한 공간을 만들어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