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7 | 폭스바겐 마이크로버스 ‘콘셉트카’ 

Editor’s Comment

어떤 자동차는 시대적 상징이 되기도 합니다. 폭스바겐의 마이크로버스도 그랬죠. 20세기 중반 히피 문화의 상징이 된 이 버스를 2006년 미국의 폭스바겐 전자기술 연구소에서 동시대화했습니다. 예전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면서도 근미래적 기술을 품은 콘셉트카를 선보였죠. 한편 올해 폭스바겐은 마이크로버스의 21세기 후예로서 순수 전기차 ‘ID 버즈’를 출시했습니다. 아쉽게도 오리지널 마이크로버스의 모습은 “영감의 원천”으로만 남았지만요.  

폭스바겐 마이크로버스의 재탄생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미국 폭스바겐 전자기술 연구소(ERL)에서 환상적인 콘셉트 카를 내놓았다. 1964년 등장한 이래 미국 히피 세대의 아이콘이 된 폭스바겐의 마이크로버스 모델에 ERL의 최첨단 기술을 결합한 새 모델 ‘카멜레온’이 바로 그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마이크로버스의 클래식한 외관을 보존하면서 최신의 자동차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버스의 넓은 차내 공간은 각종 기술을 통합한 플랫폼이 들어서는데 모자람이 없다. 그리하여 이 오래된 자동차는 음성인식, 조명, 전기 배터리, 태양열 전지, 센서,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등 현재와 근미래적 기술을 모두 갖춘 ‘낡고도 새로운’ 차로 변신했다. 

이 과정을 일컬어 ERL은 ‘숨은 기술(Hidden Technology)’이라 불렀다. 아무리 운전 경험을 확장하는 신기술이라 해도 복잡하게 노출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흐트려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버스는 한 시대와 세대를 상징하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오늘날에도 수많은 수집가들을 사로잡으며 노스탤지어를 자아내는 빈티지 모델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또한 21개의 창문과 소프트-톱 루프 덕분에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미국 서부 해안 지방에서는 ‘서퍼들의 차’로 불리기도 했다. 이번 마이크로버스 업그레이드 과정에도, 이러한 캘리포니아인들의 애정과 문화적인 특성이 적극 반영되었다. 

전통적으로 환경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온 캘리포니아가 사랑한 차인만큼, ERL은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전기 엔진을 적용했다. 이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로 구동하는 엔진으로, 차체 지붕 위에 설치된 태양열 패널의 에너지를 보조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버스에는 터치 패드 기술이 적용된 인터랙티브 디지털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음성인식 콘트롤, 뒷좌석에 마련된 엔터테인먼트 옵션, 향상된 음질의 디지털 음향 시스템은 물론이고, 차체 바깥에 장착된 주차용 와이드앵글 카메라, LED 조명 등이 눈길을 끈다. 

복고적인 외관 안에 미래의 자동차 기술을 결합한 마이크로버스는 이미 독일 본사로부터 찬사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미국에서는 지난22일 보스턴에서 열린  AltWheels 이벤트에서 대중에 첫선을 보였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파워 카이트: 상공에 띄우는 풍력 발전 시스템

독일 함부르크의 스카이세일즈 그룹(SkySails Group)이 세계 최초로 하늘을 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을 선보였다. 풍력...

2007-10-12 | 컨테이너 일리 카페

화물 컨테이너가 버튼을 누르면 90초 만에 활짝 열리며 작은 카페로 변신합니다. 2007년 뉴욕에 잠시 머물렀던 일리의 컨테이너 카페였는데요. 컨테이너는 본래의 용도 외에도 건축의 재료로서, 그러니까 프리팹 모듈로서 자주 활용되곤 합니다. 컨테이너 건축을 전문적으로 해온 애덤 칼킨이 설계와 제작을 맡아 피어나는 작은 카페를 만들어냈죠.

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