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2 | 셋이지만 하나

Editor’s Comment

2009년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서 페럴렐 프로젝트는 유명한 개념미술 작품 ‘세 개의 의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셋이지만 하나’ 전시를 선보였습니다. 열 두 팀의 디자이너들이 만든 제품은 오브제 자체, 디자이너 겸 작가 팀 파슨의 글, 사진작가 엠마 비에슬란데르의 사진의 세 가지 매체로 제시됩니다. 디자인에 대한 인식에 매체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아쉽게도 현재는 패럴렐 프로젝트의 홈페이지가 남아 있지 않습니다. 당시 실제 전시 작품을 살펴볼 수 있도록 〈디진〉의 관련 기사 링크를 덧붙여 둡니다.

2009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 개막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셋이지만 하나(Three Yet One)’는 페스티벌 기간 중 만나볼 수 있는 전시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페럴렐 프로젝트(Parallel Projects)가 기획한 이 전시의 주제는 “매체는 대상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말하자면 제품에 대한 우리의 이해나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매체들이 수행하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페럴렐 프로젝트는 12인의 신예 디자이너들에게 제품 디자인을 의뢰했다. 이렇게 완성된 제품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전시된다. 제품의 실물, 그 실물의 사진, 그리고 제품에 관한 설명문. 디자이너가 제품을, 사진작가는 사진을, 그리고 작가가 제품 설명문을 작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대상을 실물, 이미지, 언어로 재현하여 제시하는 것. 이것이 바로 ‘셋이지만 하나’의 기획이다. 이쯤 되면 요제프 코수스의 저 유명한 ‘세 개의 의자’를 떠오르는 것도 당연할 터. 페럴렐 프로젝트는 제품의 다층적 재현을 통해, 디자인의 현대적 함의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설명한다. 

‘셋이지만 하나’ 전을 기획한 페럴렐 프로젝트는, 디자이너 오스카 디아즈(Oscar Diaz)와 헤니 판 니스텔로이(Henny van Nistelrooy)가 결성한 팀으로, 작년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서는 ‘차원 변화’ 전을, 올해는 ‘에어메일’과 같은 흥미로운 전시들을 기획해왔다. 이들의 새 전시회 ‘셋이지만 하나’는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사우스 켄싱턴 크롬웰 팰리스에서 개최된다. 

www.parallel-projects.com
https://www.dezeen.com/2009/10/01/three-yet-one-by-parallel-project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2-15 | 로고들의 무덤

‘로고 R.I.P.’는 지금은 사라진 그러나 고전이라 할 로고들을 기념합니다. 책으로, 웹사이트로, 또 묘지의 비석으로도 말이지요. 암스테르담에서 브랜딩 컨설턴시인 더 스톤 트윈스를 함께 운영하는 쌍둥이 형제, 데클란 스톤과 가렉 스톤은 AT&T에서 제록스에 이르기까지, 사멸한 로고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마차 부고 기사 속 생애의 요약처럼요.

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2009-03-25 | 구글에서 보낸 3년

2006년 디자이너 더글러스 바우먼은 구글에 합류하며, 시각디자인리더로서 팀을 꾸리고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구글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면서 “엔지니어들의 회사에서 전통적인 디자이너가 부딪힌 한계”를 소회한 글을 남겼죠. 물론 그가 떠난 당시의 구글과 지금의 구글은 다른 모습일 테지만만, 여전히 디자이너 대 개발자, 디자이너 대 엔지니어 등 서로에 대한 몰이해의 일화가 심심치 않게 회자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2010-06-22 |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 수상자

2010년도 쿠퍼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의 연례 시상식,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의 수상 결과를 되돌아봅니다. 총 10개 부문의 수상자 가운데, ‘평생공로상’과 ‘디자인 마인드’ 부문의 이름은 바로 6개월 전, 그러니까 2009년 12월에 날아든 〈I. D.〉매거진의 폐간 소식을 떠올리게 합니다. 더불어 작년 5월 10일 소개했던 뉴스의 주인공도 명단에서 찾아볼 수 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