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08 | 매그넘 인 모션

Editor’s Comment

제2차세계대전이라는 가공할 전쟁이 끝나고 2년 뒤, 4인의 사진가가 사진가들에 의한 사진가들을 위한 협동조합을 설립했습니다. 매그넘 포토스의 사진가들은 이후 세상의 사건, 사람, 장소, 문화를 기록하며 강력한 이야기를 전달해왔죠. 2004년 매그넘은 ‘매그넘 인 모션’을 통해, 사진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더해, 21세기의 포토 에세이를 전하려 했습니다. 비록 매그넘 인 모션은 2008년까지만 운영되었지만, 대신 매그넘 인 모션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였던 클로딘 보글린이 모아둔 ‘매그넘 인 모션 압축판’을 덧붙여봅니다. 

20매그넘 인 모션 2006년 2월 3일자 스냅샷(https://web.archive.org)

1947년 로버트 카파,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등 전설적인 사진가들이 창설한 세계적인 보도사진가 그룹 매그넘 포토스에서 ‘매그넘 인 모션’을 운영 중이다. 단 한 장의 사진으로 현실을 일깨워온 매그넘이지만, 최근 보도 사진들이 처한 곤경 속에서 매그넘 조차 다른 방식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듯 하다. 

‘매그넘 인 모션’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클로딘 보글린(Claudine Boeglin)는 최근 20년 간 인쇄매체들이 포토 에세이를 다루는 데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고 토로한다. 그런 까닭에 매그넘 사진가들이 구축한 의미, 스토리들은 조각조각 나버렸고, 그의 표현을 직접 빌자면 보도 사진은 마치 ‘일러스트레이션’처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매그넘 인 모션’은 사진에 다시 한 번 강력한 의미의 차원을 복권시키려는 시도처럼 보인다. 매그넘 인 모션은 말하자면 매그넘 작가들의 ‘스토리’를 전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인 셈이다. 이 곳에서는 비디오, 텍스트, 음악, 내레이션, 애니메이션 등의 요소들이 결합된 사진 이미지들을 만날 수 있다. 

가령 버트 글린(Burt Glinn)의 ‘혁명(The Revolution)’에서는 쿠바의 대중 혁명 당시의 사진들을 이를 회고하는 작가의 내레이션과 함께 감상하게 된다. 인도네시아 가정부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수잔 메이젤러스(Susan Meiselas)의 ‘값비싼 꿈(Costly Dreams)’은 거의 한 편의 다큐멘터리에 가까울 정도여서 텍스트, 내레이션, 음악과 더불어 인도네시아 여성들의 목소리와 노래 소리가 사진 위로 생생하게 흘러나온다. 

텍스트 그리고 텍스트로서의 음성들이 더해지는 순간, 사진은 일종의 ‘참조점’으로 전락하는 것은 아닌가? 다소 미학적인 이러한 질문에 매그넘은 차라리 그보다 작업의 맥락을 온전히 전하는 편이 더 중요하다고 답하는 듯 하다. 전통적인 사진 매체가 어떻게 멀티미디어를 통해 의미를 확장하고 있는지, 지금 매그넘 인 모션을 방문해보시길.

www.magnuminmotion.com
https://dandyvagabonds.com/magnuminmotion.htm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2-18 | MUDAC 사그마이스터 전시회

2011년 스위스 로잔의 현대디자인미술관에서 스테판 사그마이스터의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전시의 전제는 ‘홍보물 및 판매물’에 디자인에 한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기업이나 문화 기관, 자신의 친구 그리고 본인을 위한 작업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2022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 디자인과 덧없음의 관계

https://vimeo.com/717798317 2022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JDW, 6.23 - 6.30)가 예루살렘의 한센 하우스(Hansen House)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2010-05-24 | 그의 문

디자이너 김희원은 여러 장소의 문과 창문을 사진에 담아왔습니다. ‘티 포르타’는 그중 문에 관한 작업입니다. 여러 갤러리와 뮤지엄에서 마주한 문의 풍경을 찍고, 그 모습을 다른 장소의 문에 옮겼습니다. 2010년 ‘푸오리 살로네’의 경우에는 밀라노 엔하우 호텔의 객실 문 위였고요. 오늘의 소식은 김희원의 ‘티 포르타’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