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9 | 율리아 하스팅의 북디자인 

Editor’s Comment

파이돈 출판사의 책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름, 율리아 하스팅입니다.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활동하다 파이돈의 책들을 디자인하며 이 출판사와 인연을 맺은 그는, 2000년에는 파이돈에 신설된 디자인 부서의 아트 디렉터로 합류했고, 2007년부터는 출판사의 디자인 디렉터로서 여전히 파이돈에 몸담고 있습니다. 

<앤디 워홀 카탈로그 레조네 1권 Andy Warhol Catalogue Raisonne 1>, 2003, 파이돈 출판사(Phaidon Press) 

미술, 건축, 디자인, 사진, 여행… 파이돈 출판사는 시각예술 분야의 내로라하는 출판사 중 하나다. 파이돈의 책들이 매력적인 이유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어쩌면 좋은 디자인의 책도 그 이유가 될지 모른다. 그렇다면 기억해야 할 이름이 있으니, 디자이너 율리아 하스팅(Julia Hasting)이다. 독일 브레멘 출신으로, 카를스루에 미술디자인대학을 졸업한 그녀는 기업 아이덴티티를 비롯해 문화계 포스터, 책자 등을 작업해 왔다. 

율리아 하스팅이 디자인한 책들 
photo by Mark Weiss 

이후 그녀는 파이돈 런던 오피스에 합류하여, 앨런 플레처(Alan Fletcher)과 긴밀히 작업하며 파이돈의 단행본들을 디자인했다. <10×10>(2000), <로버트 카파 사진집>(2002), <앤디 워홀 전작 도록 I, II>(2003, 2004) 등 다수의 책들이 그녀가 디자인한 것들이다. 율리아 하스팅은2007년부터 파이돈의 디자인 디렉터를 맡아, 파이돈의 북디자인을 책임지고 있다. 

<에어리어 2 Area 2>의 펼침면 이미지, 2008, 파이돈 
– 동시대 그래픽디자인을 다룬 서적으로, 율리아 하스팅은 필자로서도 책에 참여했다. 

www.juliahasting.com

via it’s nice that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9-20 | 번역

2010년, 런던을 터전 삼아 활동 중인 젊은 디자이너들이 모여 함께 전시를 열었습니다. 하나의 착상이 물리적 몸체를 얻기까지의 과정에 그들은 ‘번역’이라 이름 붙였죠. 생각이 지나온 경로와 완성된 디자인을, 또 영감의 원천이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보여주는 전시였습니다. 

2011-10-28 | 헬프의 새 포장 디자인

의약품계의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헬프라는 이름의 제약 회사는 많은 것을 ‘덜어내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도모했습니다. 간결하고 단순한 포장, 평문으로 된 증상을 강조한 제품명처럼 말이죠. 2011년 헬프는 “테이크 레스”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며, 리브랜딩을 진행했습니다. 미니멀의 기조는 여전히 유지하되 시각성을 조금 더 높이는 방향으로요. 

2010-10-01 | 미래의 책을 향한 세 가지 상상

IDEO가 상상한 디지털 시대의 책은 어떠한 모습일까요. 웹과 결합하거나 혹은 소셜 네트워크와 결합하거나 아니면 게임과 뒤섞이거나. 듀웨인 브레이와 로버트 렌이 구상한 세 가지 미래의 책 콘셉트를 만나봅니다.  

2010-04-28 | 아이들에게 안경을

퓨즈프로젝트의 작업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에는 ‘사회적 영향’이 있습니다. 2010년의 이 프로젝트도 그에 속하죠.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는 아이들의 시력이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작된 무료 안경 배포 프로그램입니다. 퓨즈프로젝트는 안경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일 만한 유쾌한 모양의 안경을 디자인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