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Editor’s Comment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아티스트 포 오바마(Artists for Obama)’ 포스터 상품. 왼쪽은 셰퍼드 페어리, 오른쪽은 스콧 핸슨의 작품이다. 

어쩌면 미국의 대선은 민주당의 경선보다 시시할지 모른다. 민주당의 경선은 두 ‘최초’간의 대결이었고, 그 결과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후보가 탄생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 치열했던 경선 과정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픽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Shepard Fairey)가 개인적인 지지 표명의 의미로 만들어낸 오바마 포스터는, 결국 오바마 선거 캠프의 요청으로 포스터, 티셔츠, 배지가 되어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크리에이티브 리뷰>에 따르면 페어리의 디자인 상품이 벌어들인 금액은 40만 달러에 달한다. 간단히 말해 셰퍼드 페어리의 오바마 티셔츠가 마크 제이콥스의 힐러리 티셔츠에 압승을 거둔 것이다. 

“구글에서 ‘오바마와 디자인’이라는 단어로 검색해보라. 힐러리 클린턴이나 존 매케인의 검색 결과와는 사뭇 다른 시각적인 풍경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코어77》의 설명대로다. 후자들의 결과는 홈페이지 캡처들이 주를 이루며, 우리가 흔히 ‘정치’하면 떠올리는 그러한 종류의 딱딱한 이미지들을 보여준다.하지만 오바마와 디자인의 경우 아티스트들의 포스터들은 물론, 개인이 직접 만든 핸드메이드 액세서리까지 보다 활기찬 결과물들을 볼 수 있다.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라는 비교까지 나왔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스콧 핸슨(Scott Hansen)이나 셰퍼드 페어리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만들어낸 세련된 작품들, 여기에 지지자들이 보여준 열성적인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자연스레 이 괴이한 비유에 수긍하게 된다. 더 나아가 우리는 이번 경선을 통해 하나의 브랜드가 탄생하는 과정을 목도했노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는 마침내 마케팅에 관한 것이 되었다. 이미지를 투사하고 판매하며, 열망에 불을 지피고, 사람들이 동일시하고 전도사가 되며 마침내 소비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오바마’라는 브랜드의 홍보 과정은, 시장이 어디로 움직이고 있는가에 관한 케이스 스터디라 할 수 있다.” – ‘오바마라는 브랜드’, <패스트 컴퍼니> 4월호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06 | 홈메이드가 최고

이케아의 주방용품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요리책. <홈메이드가 최고>는 스웨덴 전통 베이커리 30가지의 조리법을 담은 책입니다. 캠페인을 맡은 광고회사 포르스만 & 보덴포르스는 시각적으로 색다른 요리책을 선보였습니다. ‘하이패션이나 일본의 미니멀리즘’에 가까운 그런 사진들이 가득한 책을요. 

‘소리의 질서’: 소리의 데이터 세계로 이끄는 문

예술가 겸 건축가 크리스토스 부티히티스(Christos Voutichtis)가 제너러티브 아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를 선보였다. 이...

2007-02-15 | 건축의 역사, 잡지의 역사

급진의 시대에 태어난 작은 건축 잡지들. 2007년 뉴욕에서 열린 전시회 ‘클립/스탬프/폴드: 급진적 건축 리틀 매거진 196x – 197x’의 이야기입니다. 전시는 1962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간선 위에 폭발했던 작은 잡지들의 역사를 재조명합니다. 참고로 전시는 2010년 동명의 서적 출간으로도 이어졌습니다. 

2010-08-27 | ‘대즐’ 무늬의 귀환

선박 보호를 위한 전쟁용 위장무늬가 요트의 장식이 되어 귀환했습니다. 이름하여 ‘대즐 위장’이 등장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때입니다. 영국의 미술가 노먼 윌킨슨이 발명한 이 무늬는 대조적인 색상의 기하학적 도형들이 이루는 과감한 패턴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보통의 위장 무늬가 주변 환경과의 동화를 도모한다면, 대즐의 목표는 시각을 교란하는 데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