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2 | 친환경 ‘전시디자인’

Editor’s Comment

2009년 쿠퍼휴잇에서 열린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도모하는 디자인을 선보이는 자리였습니다. 그리고 뮤지엄 측은 그러한 전시에 걸맞은 ‘전시디자인’을 모색했죠. 쿠퍼휴잇의 엘렌 럽튼이 말하는 친환경 전시를 위한 친환경 전시디자인 이야기는 여전히 눈여겨 볼 만합니다. 

5월 14일부터 미국 쿠퍼휴잇 국립디자인박물관에서는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a living world)’ 전시가 개최되고 있다. 이브 베하, 헬라 용에리위스, 스티븐 버크스 등 내로라하는 디자이너 10인이 참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디자인을 펼쳐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번 전시가 추구하는 테마가 전시 작품이나 이들 작품의 탄생 과정에만 머무는 것은 아닌 모양이다. 

쿠퍼휴잇 블로그에 게재된 엘렌 럽튼(Ellen Lupton)의 글 ‘친환경 전시디자인’은, 전시 내용에 걸맞는 지속가능한 전시디자인을 담보하고자, 펜타그램의 디자인 팀이 기울인 노력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가령 전시작 가운데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아미 비탈레(Ami Vitale)의 사진 작품들은 모두 알루미늄 패널에 직접 인쇄되었다. 폼코어나 신트라(Sintra)처럼 재활용이 불가능한 기존의 패널들은 일절 사용하지 않았다고. 이번 전시에 사용된 패널은 94% 재활용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으로, 전시가 끝난 후에도 다시 재활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열전사 방식으로 알루미늄 표면에 직접 이미지를 프린팅했기 때문에, 종이나 비닐과 같은 매개지가 필요치 않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펜타그램 디자인 팀은 이번 전시가 ‘순회전’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 그래서 전시장 내 대부분의 벽 구조는 노출 목재 스터드 칸막이로 제작하였으며, 가능한 한 자재의 사용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더불어 벽을 비롯해 전시대 등은 모두 FSC가 인증한 숲에서 거둔 볼리비아산 목재들만을 사용했다. 더불어 ‘메디트 II(Medite II)’와 같은 친환경 합판 역시 전시 구조물 제작에 활용하였다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이야기하는 전시,다운 전시디자인.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 전에서 눈여겨 볼 것이 비단 디자이너들의 오브제만은 아닐 지도 모르겠다. 더불어 이번 전시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디자인플럭스의 아래 기사를 참조하시길 바란다. 

[Cooper-Hewitt Blog] “Green” Exhibition Design written by Ellen Lupton
[디자인플럭스]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07 |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디자인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도 이 이름은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또 디자이너들의 디자이너이기도 하죠. 2009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전시가 열렸습니다. 전시는 디터 람스의 40년 커리어 중에서 약 12년 정도의 기간에 집중하며, 그 시기의 “랜드마크”라 할 제품 작업들을 통해, 디터 람스의 세계를 조명했습니다. 

2009-01-28 | 디자인 발견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나.” 런던 디자인 뮤지엄이 2009년 ‘디스커버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어떤 사물이 왜 그러한 모습이고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기능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