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2 | 친환경 ‘전시디자인’

Editor’s Comment

2009년 쿠퍼휴잇에서 열린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도모하는 디자인을 선보이는 자리였습니다. 그리고 뮤지엄 측은 그러한 전시에 걸맞은 ‘전시디자인’을 모색했죠. 쿠퍼휴잇의 엘렌 럽튼이 말하는 친환경 전시를 위한 친환경 전시디자인 이야기는 여전히 눈여겨 볼 만합니다. 

5월 14일부터 미국 쿠퍼휴잇 국립디자인박물관에서는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a living world)’ 전시가 개최되고 있다. 이브 베하, 헬라 용에리위스, 스티븐 버크스 등 내로라하는 디자이너 10인이 참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디자인을 펼쳐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번 전시가 추구하는 테마가 전시 작품이나 이들 작품의 탄생 과정에만 머무는 것은 아닌 모양이다. 

쿠퍼휴잇 블로그에 게재된 엘렌 럽튼(Ellen Lupton)의 글 ‘친환경 전시디자인’은, 전시 내용에 걸맞는 지속가능한 전시디자인을 담보하고자, 펜타그램의 디자인 팀이 기울인 노력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가령 전시작 가운데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아미 비탈레(Ami Vitale)의 사진 작품들은 모두 알루미늄 패널에 직접 인쇄되었다. 폼코어나 신트라(Sintra)처럼 재활용이 불가능한 기존의 패널들은 일절 사용하지 않았다고. 이번 전시에 사용된 패널은 94% 재활용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으로, 전시가 끝난 후에도 다시 재활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열전사 방식으로 알루미늄 표면에 직접 이미지를 프린팅했기 때문에, 종이나 비닐과 같은 매개지가 필요치 않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펜타그램 디자인 팀은 이번 전시가 ‘순회전’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 그래서 전시장 내 대부분의 벽 구조는 노출 목재 스터드 칸막이로 제작하였으며, 가능한 한 자재의 사용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더불어 벽을 비롯해 전시대 등은 모두 FSC가 인증한 숲에서 거둔 볼리비아산 목재들만을 사용했다. 더불어 ‘메디트 II(Medite II)’와 같은 친환경 합판 역시 전시 구조물 제작에 활용하였다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이야기하는 전시,다운 전시디자인.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 전에서 눈여겨 볼 것이 비단 디자이너들의 오브제만은 아닐 지도 모르겠다. 더불어 이번 전시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디자인플럭스의 아래 기사를 참조하시길 바란다. 

[Cooper-Hewitt Blog] “Green” Exhibition Design written by Ellen Lupton
[디자인플럭스]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19 | 입체 포스터

말 한 마리가 벽에서 뛰쳐나오는 듯 합니다. 드라이 더 리버가 새 싱글을 발매하며, 런던 길거리 곳곳에 입체 포스터를 붙였는데요. 포스터 한 장의 말 상반신을 완성하는 데 35시간이 걸린, 그야말로 노고의 결과물입니다. 그래서 더욱 ‘두드러지는’ 포스터이기도 하고요.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2010-09-09 | 부룰렉 형제, 알레시와 만나다

부룰렉 형제와 알레시가 처음 만나 함께 식기 컬렉션을 내놓았습니다. 전통적이고 소박하되 섬세한 표현을 더하여, 네모와 동그라미 사이에서 조금씩 모양을 달리하는 타원의 식기들이 한가족을 이룹니다. 그렇게 탄생한 '오벌' 컬렉션이 2010년 오늘의 소식입니다.

먹거리 도구: 숨겨진 이야기

주방 도구의 역사를 다룬 책 <먹거리 도구: 먹거리와 먹는 방법에 영향을 주는 사물 이야기(Tools...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