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1 | 바이오쿠튀르

Editor’s Comment

배양액 속 박테리아가 섬유를 자아내고 그것들이 엉겨 막을 이룹니다. 그리고 이 미세 섬유질의 막이 모여 천이 되죠. 모두가 실험실에서 단 몇일 만에 이뤄지는 과정입니다. 수잔 리의 ‘바이오쿠튀르’는 막대한 인력과 자원과 환경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운 의류의 한 가지 미래를 앞당겨 보여준 프로젝트였습니다. 현재 그는 바이오패브리케이트(Biofabricate)의 대표로, 바이오원료 기술과 패션은 물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미술대학의 선임 연구원 수잔 리(Suzanne Lee)는 ‘바이오쿠튀르(BioCouture)’라는 이름의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녀의 목표는 천을 ‘배양’하는 데 있다. 미생물을 활용한 바이오 텍스타일을 패션의 질료로 삼으려는 것이다. 

‘용액 용기에서 출현하는 옷.’ 바이오쿠튀르라는 개념은 수잔 리의 책 <미래의 패션을 짓다: 내일의 옷Fashioning the Future: Tomorrow’s Wardrobe>에서 시작되었다. 특정 박테리아는 발효과정에서 미세섬유를 만들어낸다. 설탕을 섞은 녹차 용액에 박테리아 셀룰로스가 섞인 배양지를 넣고 여기에 이스트와 기타 미생물들을 첨가한다. 그러면 박테리아가 설탕을 먹이 삼아 활동하며, 가느다란 순수 셀룰로스 실을 잣게 된다. 실들이 서로 달라 붙어 용액 위에 막을 이루는데, 약 2~3주의 시간이 지나면 두께가 약 1.5cm 정도가 된다. 바로 이 막이 바이오쿠튀르의 텍스타일이다. 막을 곧바로 입체 틀에 붙여 모양을 잡거나 혹은 건조시켜 평평하게 만들어, 의상의 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결과물은 일종의 가죽, 그러나 동물성이 아닌 식물성의 가죽이라는 인상을 준다. 얇고 투명한 가죽 또는 껍질의 느낌이 든다. 안전하면서도 가죽을 둘러싼 윤리적 문제, 더 나아가 의류 산업을 둘러싼 환경 문제로부터도 자유롭다. 버릴 때도 안심할 수 있다는 것 역시 바이오쿠튀르의 장점이다. 수잔 리의 바이오쿠튀르는 아직 실험적 프로토타입 단계에 있다. 상업화를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www.biocouture.co.uk
https://www.biofabricate.co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폐기물 시대: 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버려진 재료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는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전시가 지난 20일 까지 런던에 위치한 디자인...

런던 지하 대피소 경험: ‘비밀 대피소 챌린지’

런던 교통 박물관(London Transport Museum, 이하 LTM)과 게임 개발사 뮤세미오(Musemio)가 어린이를 2차 세계대전의 지하...

2010-08-19 | 테크노크래프트 전시 개막

2010년 전시 ‘테크노크래프트’는 만들기라는 오래된 행위의 새로운 양상들과 그것이 불러온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작년 5월 18일자 기사에서 그 내용을 소개했었죠. 오늘자 뉴스는 개막 이후 전시 현장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2007-04-05 | IKEA의 주택 상품 ‘보클록(BoKlok)’

이케아도 무지도 집안에 둘 물건을 파는 데 머무르지 않고 집마저도 상품 목록에 더했습니다. 이케아가 건설회사 스칸스카와 함께 내놓은 '보클록(BoKlok)'은 ‘누구’에서 출발하는 집입니다. 이 집의 시작은 ‘아이 한 명을 키우는 한부모 여성’입니다. 평균 수준의 소득에 자동차는 없는 여성이요. 여기에서 조금 더 확대해 아이 한 명의 작은 가족, 이제 직장 생활을 시작해 첫 주택을 구입할 청년층, 작고 저렴하고 안전한 집을 원하는 노인 등이 보클록이 상정한 거주자의 모습이었습니다. 2019년에는 ‘실비아보’ 프로젝트를 통해 치매 환자를 위한 집을 선보이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