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Editor’s Comment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에이드리언 쇼네시(Adrian Shaughnessy)가 그래픽 디자인 업계에서 마주치는 열 가지 패러독스에 관해 이야기한다. 지난 9일 <디자인 옵저버>에 게재한 ‘그래픽 디자인의 열 가지 패러독스(Ten Graphic Design Paradoxes)’에서, 쇼네시는 최근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책을 쓰던 와중, 새삼 깨닫게 된 역설들을 정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업계의 지혜라 받아들여지는 것과는 정반대의 의견이나 진술이라는 점을 뜻하고자 ‘패러독스’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여기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계의 열 가지 역설을 소개한다.”

1. 나쁜 클라이언트란 없다. 나쁜 디자이너만이 있을 뿐.
2. 더 나은 그래픽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되어보는 것이다. 
3.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할 것이다. 
4.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돈을 벌고 싶다면, 돈이 아니라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 
5. 디자이너에게 이야기 기술은 디자인 기술만큼이나 중요하다. 
6. 아이디어가 좋지 못해 실패한다기보다, 아이디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실패한다. 
7. “전문가인 제가 제일 잘 압니다.” 
8. “좋은 일은 다 다른 디자이너한테 가더라.” 
9. 스튜디오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최고다.
10. 그 무엇도 신뢰하지 않는다면, 남들이 왜 나를 못 믿나 의아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가운데 어떤 진술은 내용 그대로를 의미하지만, 어떤 경우들은 그렇지 않아서 그 역이 참이 되기도 한다. 어째서인지 좋은 일은 다 다른 디자이너들에게 돌아가는 것 같은데, 나는 오늘도 뭣도 모르는 클라이언트를 가르쳐가며 실랑이를 벌이며, “그냥 돈 때문에 하기로 한 일이니 참는다”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다면? 물론 이러한 비극은 언제라도 벌어질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일이 매번 반복된다면? 에이드리언 쇼네시는 어쩌면 당신의 관점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듯하다. 

아래 <디자인 옵저버>의 원 기사에서 열 가지 패러독스를 살펴보시길. 원 기사 말미에서 (아마도 모두가 공감할 법한) 또 하나의 ‘보너스’ 패러독스도 살펴볼 수 있다. 

[Design Observer] Ten Graphic Design Paradoxe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0-25 | 메탈 셔터 하우스

뉴욕 웨스트 첼시의 아트갤러리 지구에 자리한 이 11층짜리 주거용 건물은 차분하고 반듯하지만, 동시에 동적인 면모를 지녔습니다. 건물의 전면에 달린 천공을 낸 금속의 셔터가 닫힘과 열림을 통해 건물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합니다. 개별 가구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빛을 조절하는 실용적인 요소이면서, 건축적으로는 변화하는 외벽이라는 개념의 구현이기도 했죠.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2011-05-26 | 〈토털〉 앨범 커버 디자인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노래들을 담은 하나의 음반. <토털>의 슬리브 디자인에 관한 피터 사빌의 이야기를 <가디언>에서 빌려와 봅니다. “이것이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텔레비전에서 광고될 음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커버에 ‘높이 쌓아, 싸게 판다’ 식의 미학을 담았다. 앨범을 열면 ‘Total’이라고 쓰여 있지만, 접힌 상태에서는 ‘O’자들만 보인다. 앨범에는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라고 쓰여 있는데, ‘베스트 오브’라는 말을 견딜 수가 없었다.인디 레코드샵에서 테스코까지는 머나먼 길이었으니, 거의 33년의 세월이었다. 팩토리에서는 홍보 디자인에 있어 유례 없는 자유가 있었고, 비즈니스의 간섭 없이 이상을 누렸다. 그것은 하나의 현상이었다.”

2008-10-20 | 필름 카메라의 귀환

무엇인가가 주류로 부상할 때, 그것에 의해 밀려난 것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된 시기와 클래식 카메라, 로모, 토이 카메라 등이 인기를 누린 시기가 비슷했던 것처럼요. 2008년 일본의 슈퍼헤즈가 내놓은 ‘블랙버드, 플라이’도 그러한 맥락에 있었던 제품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