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Comment
저 악명 높은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짐바브웨 달러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한 와중에 종이가 사치 수입품으로 분류되어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면서, 언론사들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2009년 <짐바브웨 신문>의 ‘감사 벽보’ 광고는 돈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종이로서의 효용만 남은 짐바브웨 달러의 현실을 정확히 겨냥한, 씁쓸한 캠페인이었습니다.

100억을 가지고도 계란 하나 살 수 없다면.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짐바브웨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심지어 100조라는 천문학적인 단위의 지폐까지 등장하여, 교환가치를 상실해 버린 화폐의 비극을 증거하고 있다.
“무가베 씨 덕분에 이 돈으로 벽을 바르네요.” 2009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시에 난데없는 ‘감사 벽보’가 나붙었다. TBWA가 제작한 <짐바브웨 신문>의 광고물이다. 1.5x5m 크기의 이 벽보는 오로지 짐바브웨 달러 지폐로만 제작되었다.
이러한 벽보가 등장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최악의 독재자 무가베는 사치품의 수입 관세를 55% 인상했다. 이들 사치품목 가운데는 어째서인지 종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조치는 신문사들에게는 직격탄이 되었다. 종이조차 살 수 없는 상황에서 과연 어떻게 신문을 발행한단 말인가?

TBWA가 맡은 이번 <짐바브웨 신문> 캠페인은 일반적인 홍보를 넘어, 짐바브웨의 비극을 정면으로 겨냥한다. 교환가치를 잃어버린 지폐에 남은 것은 종이로서의 사용가치뿐. TBWA의 이번 캠페인은 짐바브웨가, 짐바브웨의 언론이 처한 현실을 꼬집고 있다.
아트디렉터: 셸비 스몰러, 나디아 로스고트(TBWA)
카피라이터: 레이첼 배스킨(TBWA)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니콜라스 헐리, 데이먼 스테이플턴(TBWA)
www.tbwa.co.za
www.thezimbabwean.co.uk
via yatzer
© designflu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