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25 | 구글에서 보낸 3년

Editor’s Comment

2006년 디자이너 더글러스 바우먼은 구글에 합류하며, 시각디자인리더로서 팀을 꾸리고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구글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면서 “엔지니어들의 회사에서 전통적인 디자이너가 부딪힌 한계”를 소회한 글을 남겼죠. 물론 그가 떠난 당시의 구글과 지금의 구글은 다른 모습일 테지만, 여전히 디자이너 대 개발자, 디자이너 대 엔지니어 등 서로에 대한 몰이해의 일화가 심심치 않게 회자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구글에서 시각디자인 팀을 이끌었던 더글라스 바우먼(Douglas Bowman)이 지난 주 금요일 구글을 떠났다. 구글에서의 마지막 날, 그는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에 관한 글을 남겼다. 여기에서 그는 “엔지니어들의 회사에서 전통적인 디자이너가 부딪힌 한계”를 고백한다. 

“엔지니어들이 가득한 회사에서는, 문제의 해결 방식 역시 공학적이다. 각각의 의사 결정은 단순한 논리 문제로 축소하고, 주관성을 일절 배제한 채 오로지 데이터만 들여다 보는 것이다. 데이터가 모든 의사 결정의 버팀목이 되면서, 대담한 디자인 의사결정을 가로막게 된다.” 

그리고는 다음과 같은 일화들을 덧붙인다. “그렇다. 구글 팀은 두 개의 파랑색 가운데 쉽사리 한 쪽을 택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들은 두 개의 파랑색 가운데 어느 쪽이 나은가를 알아보기 위해, 이 두 파랑색 사이 41 단계 음영을 테스트한다. 최근 나는 테두리 선의 너비가 몇 픽셀이어야 하나, 3인가 4인가 아니면 5인가를 두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그리고는 내 주장이 맞다는 사실을 증명해 보라는 요청을 받았다. 나는 이러한 환경에서는 더 이상 일할 수가 없다. 이렇게 작디 작은 결정들을 두고 논하는 일에 지쳐버렸다.”

하지만 “어느 색이 나은지 알아보기 위해 41개의 음영을 연구하는” 구글의 이러한 프로세스야말로, ‘구글다운’ 미덕이라 이야기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한 디자이너는 구글을 떠나기로 결심하게 된 것이다. 이 글은 현재 <코어77>을 비롯해, <CNet><기즈모도> 등 여러 매체에 소개되며 반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누군가는 디자이너 개인의 직관과 과감한 도전이 개입될 여지가 없는 디자인 프로세스란 무의미하다고 생각할 것이고, 반면 다른 누군가는 집요하리만치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과 데이터를 분석하는 디자인이야말로 좋은 디자인이라 생각할 것이다. 과연 좋은 디자인이란 데이터 속에 있을까, 아니면 디자이너의 머리 속에 있을까. 아니 이러한 양자택일의 질문은 과연 적절한가? 여러 가지 질문들이 꼬리를 잇는 가운데, 과연 3년 전 구글은 어떤 이유로 사상 처음으로 (전통적인 의미의) ‘디자이너’를 영입하려 했던 것인지도 다시 한 번 궁금해진다.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버질 아블로의 마지막 루이 비통: 2022 파리 패션 위크

2개월 전 세상을 떠난 패션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Virgil Abloh)가 마지막으로 디렉팅을 맡았던 루이 비통...

2010-12-13 | 팬톤 선정 2011년의 색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팬톤이 예견한 내년의 색은 ‘허니서클’이었습니다. 붉은 기가 도는 분홍의 활력이 일상의 어려움을 활기차게 마주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설명이었지요. 참고로 팬톤 선정 2022년의 색은 ‘베리 페리’입니다. 팬톤이 이번 '컬러 오브 더 이어'를 위해 새로 만든 색상으로, 이처럼 새로운 조색을 선택한 것은 23년 컬러 오브 더 이어 역사상 처음이라는군요.

2007-02-21 | 머리카락으로 그린 일상

빅토리아 시대 기억을 위한 장신구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되살려,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을 기념합니다. 그것도 머리카락으로요. 미국의 공예 작가 멜라니 빌렌커는 다갈색 머리카락 한올 한올로 조용하고 평범한 장면들을 기억할 만한 순간으로 바꿔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