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질 아블로의 마지막 루이 비통: 2022 파리 패션 위크

2개월 전 세상을 떠난 패션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Virgil Abloh)가 마지막으로 디렉팅을 맡았던 루이 비통 남성복 컬렉션이, 2022 파리 패션 위크에서 공개되었다. 2018년에 루이 비통의 아트 디렉터로 발탁된 이후, 지금까지 7번의 컬렉션을 발표했고, 이번 8번째 컬렉션 ‘루이 드림하우스(Louis Dreamhouse)’를 마지막으로 버질 아블로의 루이 비통은 막을 내린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이번 패션쇼는 버질 아블로의 디자인 철학, 즉 어린 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보이후드 이데올로기(Boyhood Ideology)’ 렌즈를 통해, 남성복의 사회적 드레스 코드를 변형하고 재해석한다. 다양한 소재와 기술을 사용한 의상과, 무대 위 모델들의 초현실주의적인 몸동작은, 익숙한 것들을 추상화하면서 보는 이들의 시야를 확장시킨다.

‘루이 드림하우스’는 의상과 함께 안무, 사운드트랙, 단편 영화 등의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었는데, 그 중 특히 모델이 누비는 초현실주의적인 런웨이의 디자인과 연출이 흥미롭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파리 카로 뒤 텅플(Carreau du Temple) 내부의 ‘8계절의 아치’를 중심으로 런웨이를 배치하고 그 위에 위치한 대형 식탁에는 오케스트라가 둘러앉아 사운드트랙을 연주한다. 중앙에 대형 침대가 놓여 있는 침실에서는 가구가 흔들리면서 쓰러지고, 상승하는 계단 구조물에서는 모델들이 계단 아래로 떨어졌다가 트램펄린으로 다시 튀어 오르기를 반복한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지붕 위로 연기를 뿜어내는 굴뚝에는 모델이 매달리고 물구나무를 선다. 이러한 비현실적인 무대 장치들은 이전에 버질 아블로가 디렉팅한 루이 비통 패션쇼 가운데 특히 2020 F/W 컬렉션에서 가져온 것이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런웨이 © Louis Vuitton

이번 패션쇼의 시노그래피는 로스앤젤레스의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플레이랩(Playlab)에서 담당했다. 2020 S/S 컬렉션부터 아블로와 함께 해 온 플레이랩은 아블로의 마지막 컬렉션을 위해 몽환적이고 역동적인 런웨이를 만들어냈다.

루이 비통 2022 F/W 남성복 컬렉션 영상 © Louis Vuitton



louisvuitton.com
complex.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1-05 | 샤넬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

샤넬을 상징하는 그 퀼팅백에서 영감을 얻은 동시대 미술 작품들을 싣고 세계를 여행할 컨테이너. 샤넬은 이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의 설계를 자하 하디드에게 의뢰하였습니다. 우주선을 닮은 그의 이동식 전시 파빌리온은 2010년까지 세계 여행을 마치고, 2011년 파리 아랍세계연구소 앞마당에 안착하였습니다. 

2010-05-24 | 런던의 새 버스

런던의 상징이었던 이층버스가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2005년 12월 9일 루트마스터가 마지막으로 정규 노선 주행을 마친 지 약 5년 만에, ‘런던의 새로운 버스’의 모습이 공개되었습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이 새로운 루트마스터는 2012년부터 런던의 거리를 달렸는데요. 하지만 생각보다 이른 2017년 런던시가 가격 문제를 이유로 뉴 루트마스터의 구입을 중단하였고, 그 자리는 헤더윅 스튜디오의 디자인에 바탕을 둔 또 다른 ‘새’ 루트마스터가 이어 받았습니다.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원석에서 유리로’: 원석으로 만드는 천연 색 유리

예루살렘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살로메 마렉(Salomé Maarek)이 원석을 활용하여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