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대사관

외계인 대사관, 2021. © Hung Lu Chan

네덜란드와 대만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찬 훙 루(Hung Lu Chan)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 ‘외계인 대사관(The Embassy of Aliens)’은 주로 공상 과학 소설이나 영화에서 작가나 감독이 상상하고 구현한 기존의 외계 생명체라는 개념과 그 형상에서 벗어나, 인간이 외계인을 인식하는 대안적 상상을 유도하고 탐구한다.

외계인 대사관에서 의사소통 하는 모습, 2021. © Hung Lu Chan

‘외계인 대사관’은 인간과 외계인 사이에서 협상하는 매개체적 수단으로, 여기에서 작가는 ‘외계인의 소리(Sounds of Aliens)’라는 새로운 틀을 적용한다. ‘외계인의 소리’는 인간과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외계인 사이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일종의 악기이다. 기술적인 면에서, 이것은 인간이 외계인을 떠올릴 때 발생하는 인간의 뇌파 – 사운드 개념으로서의 파장 – 를 감지하여 ’이미지’ 같은 시각적 간섭 없이 직접 음악적 신호로 변환한다.

음악적 신호로 변환된 외계인의 소리, 2021. © Hung Lu Chan

수 세기 동안 인간은 외계인에 대해 상상해왔고, 1960년대 이후부터 과학자들은 본격적으로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SETI, Searching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를 이어오고 있다. 가장 기초적이면서 본질적인 방법은 전파망원경을 사용하여 먼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이상 신호를 찾는 것인데, 여기에서 이상 신호의 기준은 결국 인간의 기술을 기반으로 세워진 것이다. 이러한 역설을 통해 우리는 외계인에 대한 두 가지 이해 방식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인간 자신 역시 인간이 찾고 있는 외계인의 미래 중 하나라는 것, 그리고 둘째는 인간이 상상하는 외계인의 모습은 미래에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외계인 대사관 일러스트레이션, 2021. © Hung Lu Chan

현대 대중문화에서 나타나는 외계인의 모습에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소망과 욕망이 담겨 있다. 즉 외계인은 인간의 자아, 그 내면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독일의 현상학자 발덴펠스가 저술한 <외계인 현상학: 기본 개념(Phenomenology of the Alien: Basic Concepts)>에 따르면, 외계인은 인간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발생한다.

‘외계인 대사관’에서 찬 훙 루는 바로 이 논리를 따라 외계인을 시각적 형상이 아닌 다른 측면에서 다가간다. 외계인의 대리인이 되어 그 입장에서 바라보고, 궁극적으로 외계인이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다. 이와 같이 인간과 외계인의 관점을 교차함으로써, 이 프로젝트는 사람들의 고정관념과 인식에 도전하고, 다른 존재와 다른 사회, 다른 세계를 모색한다.

외계인 대사관에서 상호 작용하는 모습, 2021. Photo © Iris Rijskamp

외계인 대사관 연설과 작품 설명을 영상에서 볼 수 있다.

hungluchan.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14 | 잉크, 드레스 속에 흐르다

아나욱 비프레흐트는 인터페이스로서의 패션을, 패션으로서의 기술을 디자인합니다. 그가 2010년 선보인 ‘쉬도모프’는 그의 행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지요. 잉크, 밸브, 전자회로가 더해진 두터운 펠트 드레스는, 기계가 작동하는 순간 드레스 안으로 잉크가 스며들며 번져나가 무늬를 만들어냅니다. 이후로도 그는 계속해서 “패션테크”의 영역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2011-06-14 | 캄파나 형제의 러그 디자인

브라질을 대표하는 형제 디자이너 움베르투 & 페르난두 캄파나의 2010년도 러그가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을 찾았습니다. 풀밭 위에 누워 있는 듯한 사람들의 모습이 평면이 아닌 입체로, 그러니까 봉제 인형들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왜 하필이면 봉제 인형일까요. 또 그것에 담긴 함의는 무엇일까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