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20 | 아이티를 위하여

Editor’s Comment

거대한 자연 재해 앞에서 사람은 작고 무력하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재난의 잔해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것은 결국 사람의 몫이죠. 지난 15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인근의 해저 화산 하파이가 폭발했습니다. 통신 두절로 몇일이 지나서야 피해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가운데, 예상보다 인명 피해는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섬들을 뒤덮은 화산재로 인해 식수난이 심각하고, 또 구호를 위한 접근도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부디 더 큰 피해 없이 구호와 복구가 이뤄지길 바라며, 오늘은 10년 전 대지진이 강타했던 아이티의 재건을 위해 복구 계획을 발표했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이야기를 다시 만나봅니다. 

아이티에 찾아든 비극의 소식은 지난 한 주, 세계를 내내 안타깝게 했다. 생존자 수색과 부상자 치료, 구호 물품 공수 등 긴급 구호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신음하는 아이티에 다시 삶이 재개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재건도 준비해야 한다. 비영리 건축 디자인 단체,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Architecture for Humanity)가 지난 16일 아이티 재건 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실제로 재건이란 그리 짧은 시간 안에 이뤄지지 않는다. 사전 계획 평가 및 피해 분석에만 1년이 걸리며, 토지 거주권과 건물 소유권을 정리하는 데만도 6개월에서 5년까지 걸린다. 게다가 세계에서 답지하는 수많은 선의를 효율적으로 조율하는 것 역시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이미 카트리나 허리케인, 츠나미 피해 복구 작업에 참여하며, 이러한 문제들을 절실히 경험했다. 

구글 어스로 바라본 아이티 지진 이전/이후의 모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가 제안하는 복구 계획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필요한 것은 지역 인력 센터다. 재건 작업을 위한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인적 자원과 건축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가 만나는 곳이자, 디자인으로 재건을 도우려는 자원 건축가들과 지역의 풀타임 인력들이 연결되는 지점이다. 전문적인 설계와 건축 서비스가 필요한 이들은 어디로 가야 하는 지 알게 되고, 건축가는 심지어 지구 반대편에서도 지역의 조건과 상황에 맞는 건축을 진행할 수 있다. 지역 인력 센터는 재건 계획에 연속성을 부여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지역 사회와 단체에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지역 인력 센터는 교육과 공유가 이뤄지는 곳이기도 하다.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재건축 101 매뉴얼>, <방진 건축 매뉴얼>을 번역하여 배포하고, 한편 재건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와 지역주민에게 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건축 기술을 교육한다. 적어도 새롭게 건축될 건물들은 지금보다 더욱 안전해야 한다. 구호가 긴급하다는 이유로, 마구잡이로 재건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을 이 곳에서 진행할 수 있다. 

동시에 센터는 재건과 관련된 모든 자료들을 공개하여, 누구나 필요한 자료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06년 TED상 수상을 계기로, 오픈 아키텍처 네트워크를 열었다. 이 곳의 모든 자료들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라이센스를 따른다. 아이티 재건 과정에서 생산된 모든 자료와 작업물 역시 공유될 것이다. 이는 다른 단체들이 진행하는 건축 프로그램에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앞으로 또 닥칠 지 모르는 재난에 대응하는 근거 자료가 된다.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자신들이 아이티에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그리고 이미 수많은 개인들이 이들의 활동을 돕기 위해 나섰다. 누군가는 돈을 기부하고, 다른 누군가는 자신의 디자인을 기부한다. 물론 더 많은 도움이 절실하다. “만일 우리가 하는 일이 마음에 든다면 도와주십시오. 아니면 이 계획을 훔쳐가셔도 됩니다.”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를 방문하면, 아이티 재건을 위한 노력에 동참할 수 있다. 

[Architecture For Humanity] Haiti Quake Appeal: Long-term Reconstructio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5-02 | 가구로 다시 만나는 그녀, 발렌티나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를 빼어닮은, 핫셀블라드를 든 사진가인 그녀는 관능, 희열, 백일몽, 사도마조히즘의 위험한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이야기입니다. 1965년에 태어난 발렌티나 시리즈는 1980년에 막을 내렸고, 작가 귀도 크레팍스도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이 유명한 여인은 책을 떠나 2008년에는 가구의 모습으로 2017년에는 벽지의 모습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2006-11-22 | 탄소중립적 음반

‘탄소중립’이라는 말이 어느 때보다 자주 들려오는 요즘, 이 말을 2006년의 뉴스에서 다시 마주하는 기분이 씁쓸합니다. 옥스포드 사전이 선정했던 2006년 올해의 단어. 그러나 15년이 훌쩍 지난 지금, 탄소중립이라는 말에 시급함만 더해졌을 뿐입니다. 오늘의 옛 디자인플럭스 뉴스는 콜드플레이와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의 ‘탄소중립적 음반’ 소식입니다. 참고로 최근 콜드플레이는 3년만에 재개하는 월드투어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발표했지요.

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2009-09-15 | 얼마나 먼 길을

멀리 노르웨이에서 잡힌 고등어가 비행기를 타고 금세 이곳까지 날아옵니다. 원산지와 판매지의 거리는 이제 신선 식품의 경우에도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그 놀라운 거리와 속도의 편의를 마음 편히 누릴 수만은 없습니다. 기후 변화라는 단어가 기후 위기가 된 지금에는 더더욱요. 식품 포장에 원산지와 이동 거리를 표기한다면. 2009년 디자이너 제임스 레이놀즈가 제안했던 ‘파 푸드’를 되돌아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