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4 | 비녤리 캐논

Editor’s Comment

모더니즘의 충실한 실천가였던 마시모 비녤리가 만년에 디자이너들을 위해 작은 책자를 내놓았습니다. 『비녤리 캐논』은 평생의 작업을 통해 익히고 세운 디자인 원칙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입니다. 이 책은 반갑게도 2013년 『비녤리의 디자인 원칙』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디자이너 마시모 비녤리(Massimo Vignelli)가 96페이지 분량의 책자를 내놓았다. <비녤리 캐논 The Vignelli Canon>은 그래픽디자인에 있어 특히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몇 차례 강의를 하다보니, 젊은 디자이너들 사이에 타이포그래피의 기본 원칙들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마시모 비녤리는 이 책을 통해 그간의 작업들을 통해 스스로 세워온 디자인 방법론을 차근차근 공유하고 있다. 

책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앞 부분은 무형의 개념들, 가령 디자인 언어의 의미론, 구문론, 실용성, 디자인 원칙 등에 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후반부는 보다 구체적인 항목들을 짚어 나간다. 종이의 사이즈, 그리드, 여백, 기본 서체, 서체 크기간의 관계, 레이아웃 등에 관한 내용들이 자세히 다뤄져 있다. 

이 책에 있어 가장 멋진 부분은, 누구나 마시모 비녤리 홈페이지에서 <비녤리 캐논>의 PDF 버전을 내려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는 뜻하지 않은 새해 선물이 아닐지. 

<The Vignelli Canon> 다운로드(링크 주소 갱신)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Spring 2021, Volume 37, Issue 2

이번 봄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는 학술저널 즉 글로 된 연구 결과물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게...

2007-06-21 | RCA 졸업전

1851년 런던의 하이드 파크에 거대한 유리 건물이 세워졌습니다. 이름하여 ‘수정궁’ 안에 만국의 산업, 문화, 예술 생산품을 선보였던 그 행사의 이름은 ‘대박람회’였습니다. 만국박람회의 시대를 열었던 이 행사는 영국의 여러 박물관을 비롯해 대학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영국왕립예술학교도 그 중 하나였지요. 2007년 영국왕립예술학교는 ‘대박람회’ 150주년을 기념하며, 졸업전시회를 그에 헌정했습니다. 

2010-05-20 | 바바라 크루거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2010년 5월 21일 이후 런던의 지하철역에서 포켓형 노선도를 집어들었다면, 표지에서 어딘가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을 것입니다. 노선도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역의 이름이 다릅니다. 가령 피카딜리 서커스 역은 ‘역설’, 웨스트민스터 역은 ‘이성’, 러셀 스퀘어 역은 ‘의심’, 템플 역은 ‘웃음’이 되었습니다. 바바라 크루거는 런던 도심의 지하철역에 어떤 상태, 개념, 감정의 단어를 붙였고, 그렇게 바뀐 노선도는 마음의 여정을 그린 마인드맵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2007-07-13 | 콘스탄틴 그리치치+플라스틱 신소재

새로운 소재가 출발점이 된 의자. ‘미토’는 바스프가 개발한 새로운 공업용 플라스틱 신소재로 태어난 첫 번째 제품입니다. 바스프는 신소재 울트라 시리즈를 개발하며, 4인의 디자이너를 초빙해 워크숍을 열어 소재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는데요. 그 중 한 사람이었던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한 ‘울트라듀어® 하이 스피드’의 제품화를 시험합니다. 여기에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합류하며, 그렇게 모노블록 의자 ‘미토’가 탄생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