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페이스북의 새 이름 메타, 대체어 챌린지

페이스북의 새 사명 ‘메타’의 로고, 2021. © Meta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새 사명 ‘메타(Meta)’를 발표했다. ‘메타’는 메타버스를 일상으로 가져와 사람들을 연결하고, 커뮤니티를 찾아주며,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페이스북의 파격적인 이번 발표 직후, 디자인 이머전시(Design Emergency)에서는 인스타그램에 대체 용어 공모 챌린지를 시작했다. 

이 게시물에서 이들은 “디자인 이머전시 챌린지! 제발 테크권위자(tech-Gru) 마크 저커버그가 망쳐버린 ‘메타(meta-)’를 대체할 접두사와 ‘메타버스’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단어를 찾아주세요”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메타’라는 접두사는 눈부신 미래를 함의하고 있었다.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며 유동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메타’는 많은 이가 탐험하고 직접 살아보고 싶어하는 또 다른 차원을 나타냈었다. 그러나 그 의미의 유효기간은 지난 10월 28일로 끝이 났다. 페이스북의 CEO가 기업의 리브랜딩을 위해 ‘메타’를 납치해서 난도질해버린 그 날까지 말이다.”

1992년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닐 스티븐슨은 지난 29일 트위터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남겼다. “상황이 점점 혼란스러워지는 것 같다. 페이스북이 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실지만, 그 외에 나와는 전혀 무관한 일이다. 페이스북과 이 비즈니스에 관해 일절 대화를 나눈 바가 없다.” 이렇게 용어를 고안한 닐 스티븐슨마저도 페이스북의 행보에 당혹감을 표했다.

디자인 이머전시의 인스타그램에 업로드 된 밈, 2021. © design emergency

챌린지의 주최측에서는 우리의 존재 양태(state of being)는 저커버그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사람들의 참여와 행동을 독려했다. “이에 대해 여러분들의 생각을 공유해주기 바란다. 적절한 대체어를 찾을 때까지 우리는 킹 밥(*영화 ‘미니언즈’에서 미니언 밥이 자신의 즉위식에서 외치는 대사 “King Bob!”)에 빙의해 ‘바나나버스’를 가주어로 제안한다”며 이 챌린지의 문을 열었다.

디자인 이머전시는 뉴욕근대미술관(MoMA)의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와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이 2020년에 코로나 19로 인해 부상하는 디자인의 역할과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이다. 매주 인스타그램 라이브 토크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게시글과 사람들의 댓글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1-22 | 탄소중립적 음반

‘탄소중립’이라는 말이 어느 때보다 자주 들려오는 요즘, 이 말을 2006년의 뉴스에서 다시 마주하는 기분이 씁쓸합니다. 옥스포드 사전이 선정했던 2006년 올해의 단어. 그러나 15년이 훌쩍 지난 지금, 탄소중립이라는 말에 시급함만 더해졌을 뿐입니다. 오늘의 옛 디자인플럭스 뉴스는 콜드플레이와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의 ‘탄소중립적 음반’ 소식입니다. 참고로 최근 콜드플레이는 3년만에 재개하는 월드투어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발표했지요.

2010-04-21 | 식탁에 오른 자연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의 ‘살로테 사텔리테’는 나이 제한이 있는 전시입니다. 35세 이하의 디자이너만 참여할 수 있지요. 1998년 첫 전시 이래 1만 명 이상의 젊은 디자이너가 참여했고, 이제는 익숙한 이름이 된 디자이너들도 여럿입니다. 2010년 살로네 사텔리테에서 단연 주목받은 신인은 나오 타무라입니다. ‘계절’이라는 이름의 식기 디자인으로 1등상을 수상한 그는 2010년 그때 밀라노 그곳이 커리어의 시작이었다고 단언합니다. 반갑게도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그의 이름을 만날 수 있습니다. 작년 화제가 되었던 ‘도쿄 화장실’ 프로젝트에서처럼요.

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2009-04-19 | 브랜드로서 케이트 모스

2007년 패스트패션 브랜드 톱숍이 ‘케이트 모스’ 컬렉션을 발표합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이름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필요해졌지요. 디자이너 피터 사빌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가 찾은 답은 반세기도 전에 태어난 오래된 서체, ‘알-브로’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