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 미술관 가구 디자인

뭉크 미술관, 2021. © Munchmuseet

지난 10월 22일, 노르웨이 오슬로에 뭉크 미술관(Munch museum)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관했다. 개관 전부터 ‘가드레일’이라는 별명을 얻은 미술관의 외관으로 화제가 되었는데, 이번에는 미술관 내외부에 배치된 가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미술관 측은 재개관에 맞추어 노르웨이 가구 브랜드 베스트레(Vestre)에 미술관용 가구 디자인을 의뢰했고, 안드레아스 엔게스빅(Andreas Engesvik)과 요나스 스토케(Jonas Stokke)가 디자인을 맡았다.

뭉크 시리즈 의자(Munch-seat), 2021. © Vestre
미술관 실내에 배치된 뭉크 시리즈, 2021. © Vestre

이번에 공개된 뭉크 시리즈(MUNCH-series)는 미술관 곳곳에서 사용되는 의자, 카페 테이블, 소파, 벤치 라운지 체어로 구성됐다. 인체공학적 형태를 띤 뭉크 시리즈 의자의 좌석은 철제 프레임에 탄력 있는 철제 그물망을 걸친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그 위에 모직 소재를 씌운 쿠션을 올려서 세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의자의 철제 그물망은 인체공학적 형태를 극대화하고, 철제 프레임은 무게를 지탱하며, 쿠션은 편안하고 따뜻한 감촉을 제공한다.

가구에 사용된 컬러 팔레트 또한 눈 여겨 볼 포인트이다. 디자이너는 가구의 색을 결정하기까지 수 백 여 점에 이르는 뭉크의 회화 작품을 분석하고, 노르웨이 페인트 제조 업체 요턴(Jotun)과 협업하여 맞춤형 색을 제조했다.

뭉크 시리즈에 사용된 컬러 팔레트, 2021. © Vestr

베스트레의 제품들은 오래 사용이 가능한 디자인으로 이름이 높다. 이번 뭉크 미술관의 가구 역시 장기 사용을 목적으로, 모든 부품에 용접, 아연 도금, 광택 마감을 하여 실내는 물론 야외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한 내구성을 자랑한다.

“미술관의 가구는 불편해선 안 된다. 얇은 가죽 쿠션으로 덮은 납작하고 좁은 나무 벤치와 달리 관람객이 의자에 앉아 진정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형태와 등받이를 설계했다.” 스토케는 이렇게 미술관에서 흔히 사용되는 의자의 불편함을 꼬집으며, 미술관은 사람들이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어야 하는 공간이며, 그에 맞는 가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vestre.com
wallpaper.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생물다양성: 싱가포르 ‘동물’원 브랜딩 디자인

싱가포르의 디자인 에이전시 아낙(Anak)은 다섯 개의 야생 공원을 운영하는 만다이 그룹을 위한 브랜딩 디자인을...

재활용 플라스틱 벽돌 ‘바이블록’

“플라스틱은 무죄입니다. 문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대로 처리할 계획이 없다는 점이죠.” 2017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문을 연 바이퓨전(ByFusion...

2010-05-18 | 테크노크래프트

퓨즈프로젝트의 디자이너 이브 베하가 큐레이터가 되어 18개월 간 동시대 ‘만들기(making)’의 양상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청사진, 해킹, 미완성, 모듈이라는 여섯 개의 키워드를 통해서 말이죠. 2010년 YBCA에서 열린 전시회 ‘테크노크래프트’ 소식입니다.

2009-09-29 | 노마 바의 IBM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이스라엘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노마 바는 무엇보다도 ‘네거티브 스페이스’를 활용하기로 유명합니다. 2009년에 출간한 작품집의 제목도 <네거티브 스페이스>였을 정도로요. 대상과 배경이 서로 자리 바꿈하며 펼치는 이중주. 여기 IBM을 위한 광고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노마 바의 장기가 유감 없이 발휘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