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9 | MIT, 프랭크 게리 고소

Editor’s Comment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MIT의 ‘레이 & 마리아 스테이터 센터’는 놀라운 형태와 구성으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개관 직후부터 건물은 이런저런 하자에 시달렸습니다. 아고라를 구현하였다는 원형 극장 석조부에 금이 가고 하수가 역류하는가 하면, 이곳저곳에서 누수로 곰팡이가 피었다고요. 장관을 이룬 다각의 벽들은 겨울이면 얼음과 눈이 흘러내리는 슬로프가 되었습니다. 결국 MIT는 설계를 맡은 프랭크 게리 & 어소시에이츠와 건설을 맡은 비컨 스칸스카 등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책임을 돌리는가 싶던 소송은 2010년 취하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소송에서 제기한 주요 문제들이 해결되었고, 당사자 간에 합의도 이뤄졌기 때문’이었는데요. 다만 합의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MIT가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를 업무 태만을 이유로 제소했다. 캠브리지에 위치한 MIT의 다용도 건물 ‘레이 & 마리아 스테이터 센터(Ray and Maria Stata Center)’가 치명적인 결함에 시달리고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2004년 봄, 찬사 속에 개관한 이 건물은 비관습적인 벽과 급진적인 앵글로 프랭크 게리다운 스펙터클을 보여준다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MIT는 이 센터가 개관 직후부터 누수, 균열, 배수관 역류와 같은 문제에 시달렸다고 토로한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센터의 야외 광장. MIT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국 다른 업체에 야외 광장 재건축을 의뢰했고, 이렇게 지출된 비용만 150만 달러에 이르렀다. MIT는 제소장을 통해 건물의 설계를 맡은 게리 파트너스와 건축을 맡은 건설사 비컨 스칸스카(Beacon Skanska)가 계약을 위반했다고 단언하며, 건축 및 디자인 상의 실패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프랭크 게리 측과 건설사 측은 일단 디자인이나 건설에서 빚어진 문제는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양측 간에 서로 책임을 미루는 듯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뉴욕 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프랭크 게리는 이 문제의 책임이 상당 부분 ‘가치 공학(value engineering)’에 있다고 보는 듯 하다. 즉 프로젝트의 요소를 축소해 건축 비용을 낮추는 과정에서 무엇인가 문제가 발생했으리라는 암시다. 그러나 스칸스카의 부사장은 건축 당시 야외 극장의 디자인을 변경해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까지 했으나 게리 측이 이를 거절했었다고 반박했다고. 

결국 이 문제의 책임 소재는 법정에서 가려질 전망이다. 이번 사건에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Boston.com] MIT sues Gehry, citing leaks in $300m complex
[NewYork Times] M.I.T. Sues Frank Gehry, Citing Flaws in Center He Designe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주변적 디자인 #2 아이돌 팬덤 비공식 굿즈

바야흐로 K-pop의 시대다. 이번 세기 들어 그렇지 않은 적이 없지만, 최근 몇 년간은 더...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2010-06-10 | 아파트먼트 50

르 코르뷔지에의 집합주택에 부룰렉 형제의 가구가 안착했습니다. 2010년 위니테 다비타시옹에서 열린 ‘아파트먼트 50’ 전시입니다. 실제 사람이 살고 있는 주거 공간이면서 동시에 현대 집합주택의 시초인 위니테 다비타시옹에 부합할 만한 디자인들이 선별되어, 현실의 생활 공간이자 역사적 공간인 아파트에서 오는 이를 맞이하였습니다.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