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8 | 존 마에다 x 리복

Editor’s Comment

존 마에다와 리복의 만남. ‘타임태니엄’ 스니커즈는 그가 특별히 고안한 알고리듬과 코드를 입고 있습니다. 신발 속 가득한 공식과 수식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신발의 겉을 장식하고 있지요. 기술을 인간화하며, 컴퓨터를 자체로 하나의 매체로 삼은 디자이너이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교육자. 이 소식을 전한 지 한 달 조금 넘어, 그의 신상에 주요한 변화가 있었지요. 오래 몸담았던 MIT 미디어랩을 떠나 2007년 12월 RISD 학장에 선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MIT 미디어 랩의 존 마에다(John Maeda)은 수학의 논리를 가지고 디자인의 세계를 자유롭게 유영하는 흔치 않은 인물이다. 아티스트, 그래픽 디자이너, 컴퓨터 과학자, 수학자이자 <단순성의 법칙 The Laws of Simplicity>과 같은 걸출한 책의 저자인 그는 예술과 기술과 디자인 사이를 자유롭게 유영해 왔다. 그런 그가 최근 리복과 합작하여 스니커즈 디자인을 내놓았다는 소식이다. 

‘타임태니엄(Timetanium)’이라는 이름의 이 한정판 컬렉션은 마에다의 오리지널 그래픽 이미지를 신발 표면에 담고 있다. 이미 있는 디자인 소프트웨어가 아닌, 마에다 고유의 수학적 알고리듬과 컴퓨터 코드를 이용해 만든 작품이다. 흔히 지나치기 쉬운 신발 안쪽의 디자인에도 주목할 만 하다. 신발의 창을 비롯해 안쪽 벽은 그래피티를 보는 듯 하다. 신발 안쪽을 가득 메운 어지러운 공식과 수학적 기호들은 마에다가 이번 작업에 사용한 수식과 공식들로, 마에다 본인의 필체 그대로를 담고 있다. 

리복의 ‘타임태니엄’은 단 100켤레만 한정 생산되며, 11월 13일 리복 커스텀 스토어에서 판매를 개시한다. 

via Freshnessma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마이크로소프트 촉감 키트

더 매끈하게, 더 간결하게, 전자 제품의 요철을 제거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전자 기기용 라벨 키트(The...

2010-04-29 | 학생들이 수여합니다

‘쾰른 클로퍼’는 쾰른국제디자인학교(KISD)의 학생들이 수여하는 디자인상입니다. 1996년부터 KISD 재학생들은 매년 투표를 통해 뛰어난 수상자를 선정해왔는데요. 2010년의 수상자는 다름 아닌 디터 람스였습니다. 참고로 2021년 KISD 학생들의 선택은 독일의 독립출판 레이블인 슬랜티드(Slanted)였고, 시상식은 최초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열렸다고 합니다.

2011-08-02 | 『폰트북』, 아이패드 속으로

폰트숍 인터내셔널의 “커다란 노란 책”이 아이패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마치 폰트 자체가 디지털화되었듯, 『폰트북』도 디지털 앱이 되었죠. 덕분에 110여 서체제작소의 62만여 폰트 정보를 3kg에 달하는 육중한 책을 뒤적이는 대신, 가볍게 또 간편하게 검색하고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앱 출시 이후 애석하게도 『폰트북』은 출간이 중단되었는데요. 어째서인지 지금은 『폰트북』 앱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