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Editor’s Comment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의 소장 목록에 최초의 디지털 서체가 더해졌다. 고속도로 표지판용 서체, ‘클리어뷰(Clearview)’가 그 주인공이다. 미커 어소시에이츠(Meeker Associates)의 도널드 미커(Donald Meeker)와 크리스 오하라(Chris O’Hara), 터미널 디자인(Terminal Design)의 제임스 몬탈바노(James Montalbano)가 디자인한 서체로, 노년층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들을 위해 개발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오늘날 미국 운전자 인구의 1/6이 60대 중후반의 베이비붐 세대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도로표지판의 가독성이 주요한 이슈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1940년대 이래 줄곧 도로표지판을 지켜온 ‘연방도로관리청 서체(FHWA font)’, 일명 “하이웨이 고딕”은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가령 야간 주행시 표지판 표면에 빛이 반사되며 글자가 뿌옇게 번져보이곤 했는데, 대비 인지 능력이 감퇴한 노인 운전자들이 이를 분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디자이너들과 교통 분야 연구자들은 함께, 도로표지판의 야간 및 원거리 가독성 개선 작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가 ‘클리어뷰’이다. 대문자만으로 이뤄졌던 기존 표기 방식과 달리, ‘클리어뷰’는 표지판에 대문자와 소문자를 병용한다. 대신 서체의 엑스-하이트(x-height)를 늘리고,  a, e 등 글자 내부의 닫힌 공간들을 좀 더 틔워, 가독성을 확보하였다. 실제로 기존 FHWA 서체와 비교하였을 때, ‘클리어뷰’는 보다 나은 선명도를 보여준다. 

2004년 9월 연방도로관리청은 새 서체 ‘클리어뷰’에 포지티브-콘트라스트, 즉 어두운 색상의 배경에 밝은 색상의 텍스트로 이뤄진 표지 유형으로 임시 사용을 승인, 각 주에 서체 선택권을 허용하였고, 현재 미국 내 20개 주에서 사용되고 있다. 쿠퍼 휴잇은 ‘클리어뷰’가 특히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클리어뷰’가 쿠퍼휴잇 최초의 디지털 서체 소장품이 된 까닭이다. 

www.clearviewhwy.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21-11-15 | 디터 람스의 ‘620 체어 프로그램’ 재탄생

언제부터인가 디터 람스의 디자인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니, 오래된 시계, 전축 시스템, 의자, 선반이 어느 집, 어느 카페 사진 속에서 발견되곤 합니다. 디터 람스의 이름과 떼놓을 수 없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그가 40년을 몸담았던 브라운과 더불어, 비초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1960년대, 그러니까 비초에가 비초에+차프였던 시절에 디터 람스가 디자인한 선반, 의자, 테이블은 비초에라는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도 같은 무엇이 되었지요.   

2007-02-15 | 건축의 역사, 잡지의 역사

급진의 시대에 태어난 작은 건축 잡지들. 2007년 뉴욕에서 열린 전시회 ‘클립/스탬프/폴드: 급진적 건축 리틀 매거진 196x – 197x’의 이야기입니다. 전시는 1962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간선 위에 폭발했던 작은 잡지들의 역사를 재조명합니다. 참고로 전시는 2010년 동명의 서적 출간으로도 이어졌습니다. 

2009-02-03 | 코듈라

공사 현장에 있어야 할 법한 물건이 집 안으로 들어와 불을 밝힙니다. 디자이너 슈테파니 야스니의 ‘코듈라’는 전선 드럼과 하나가 된 플로어 조명입니다. 전기 조명에 없어서는 안되지만 때로는 귀찮은 전선의 존재가 디자인의 출발점이니만큼, 조명에 운신의 폭을 부여하는 장점이 되죠.

2011-04-25 | 접힌 잎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가 화웨이의 휴대폰을 디자인하며 생각한 이미지는 살짝 접힌 잎사귀였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초창기 휴대폰의 형태를 가져온 것이죠. 스마트폰이 우세종으로 자리잡던 즈음, 이처럼 반작용 혹은 반동이라 할 계열의 휴대폰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의도적인 시대착오라고 할까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