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9 | 일렉트로룩스, 바다를 청소하다

Editor’s Comment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사이 북태평양 바다에 거대한 쓰레기 섬이 있습니다. 육지에서 흘러나와 바다를 떠돌던 쓰레기들이 북태평양 환류 지점에 모여, 지도에도 없는 섬을 이룬 것이지요. 그 존재는 1997년 요트를 타고 항해 중이던 찰스 무어에게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2018년 기준 이 섬의 크기는 한반도 면적의 16배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더욱 커졌겠지요. 2010년 일렉트로룩스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기 위해 특별한 청소기들을 선보였습니다. ‘바다에서 온 진공청소기’는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지중해, 발트해에서 건져낸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청소기입니다.

일렉트로룩스 ‘백 프롬 더 시(Vac from the Sea)’ 모델 

바다 위 수많은 섬들 가운데는 플라스틱 섬도 있다. 칫솔에서 음료 박스까지, 바다 위를 표류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모여 이룬 섬. 애석하게도 이들 플라스틱은 치워지지도 못한 채 잘게 부서져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해갈 뿐이다. 올해 초 일렉트로룩스(Electrolux)는 ‘백 프롬 더 시(Vac from the Sea)’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바다 위 플라스틱 쓰레기들을 ‘빨아 들여’, 수거된 플라스틱들을 진공청소기 제작에 재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말하자면 집 안을 또 바다를 깨끗이 만들 ‘그린’ 청소기 프로젝트다. 

일렉트로룩스는 이미 70%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한 울트라원 그린 모델을 생산해 오고 있다. 하지만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공급량은 좀처럼 수요를 좀처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백 프롬 더 시’ 프로젝트는 이러한 역설적인 현실을 제기한다. 실제로 재활용되어야 할 플라스틱 쓰레기는 차고 넘쳐 바다를 떠돌 지경이지만, 막상 재활용 소재로 제품을 제작할 만큼 충분치 못한 것이다.

일렉트로룩스는 ‘백 프롬 더 시’ 프로젝트를 통해 이러한 현실을 강조하는 한편,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청소기 제작을 위해 바다 청소에 나섰다. 쓰레기 수거는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지중해, 발트해 등 다섯 곳에서 진행되었다. 이렇게 거둬들인 쓰레기로 마침내 100% 재활용 플라스틱 진공청소기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집 안을 또 바다를 청소하는 청소기들의 탄생이다. 각각의 청소기에는 사용된 쓰레기들이 수거된 바다의 이름이 붙여졌다. 비록 양산을 겨냥한 모델은 아니지만, 여느 청소기처럼 완벽히 작동한다. 

완성된 ‘백 프롬 더 시’의 첫 번째 청소기 모델들. 베를린 국제 가전박람회(IFA)에서 전시될 예정이다. 
all photos courtesy of Electrolux

한편 대서양에서 수거한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이제 막 일렉트로룩스 디자인 스튜디오에 도착하여 대서양 모델 제작에 돌입하였다고. 일렉트로룩스는 이들 ‘백 프롬 더 시’ 청소기 모델을 경매하여, 수익금을 향후 연구 지원에 사용할 계획이다. 더불어 IFA를 비롯하여, ‘백 프롬 더 시’ 모델의 공식 투어도 예정되어 있다. 

www.electrolux.se/Innovation/Campaigns/Vac-from-the-sea/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체르노빌의 사라지는 로고, 살아나는 기억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한 지 35년이 지난 지금, 이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디자인된...

2011-07-19 | 입체 포스터

말 한 마리가 벽에서 뛰쳐나오는 듯 합니다. 드라이 더 리버가 새 싱글을 발매하며, 런던 길거리 곳곳에 입체 포스터를 붙였는데요. 포스터 한 장의 말 상반신을 완성하는 데 35시간이 걸린, 그야말로 노고의 결과물입니다. 그래서 더욱 ‘두드러지는’ 포스터이기도 하고요.

머릿속을 꺼내 보는 방법, MRI를 활용한 3D 프린팅 뇌

뉴저지 맥네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엘레나 말롯이 MRI 스캔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 전체를 3D 프린팅...

2008-12-09 | 동전 한 닢 USB 드라이브

영락 없이 동전의 모습을 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라시의 ‘커런키’입니다. 기술 중심의 제품군에 기반한 브랜드이지만, 라시는 성능과 안정성 외에도 디자인에 각별히 신경을 써왔습니다. 5.5 디자이너스에게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디자인을 의뢰한 까닭이지요. 5.5 디자이너스는 USB 드라이브에 아주 일상적인 사물의 이미지를 부여했습니다. 동전이라던가 또 열쇠처럼요. 재치 있는 그러면서도 본래 물건의 휴대 습관에 자연스레 편승하는 영리한 디자인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