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13 | 스튜디오 욥 x 빅터 & 롤프

Editor’s Comment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듀오 두 팀이 하나의 무대에서 만났습니다. 스튜디오 욥과 빅터 & 롤프가 그 주인공입니다. 2009년 파리패션위크에서 선보인 빅터 & 롤프의 2010 S/S 패션쇼 현장, 무대 양 옆으로 거대한 지구본과 대좌가 나란히 놓였습니다. 대좌를 또 하나의 무대 삼아 오른 로신 머피가 노래하고,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장식한 지구본이 미러볼처럼 돌며 빛을 발하는 동안, 내년의 가벼운 옷을 입은 모델들이 무대를 걸었지요. “서로의 길이 교차할 때마다 함게 즐겁게 일한다”는 두 듀오의 협업은 이전부터 이어져 또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빅터 & 롤프 2010년 봄/여름 시즌 패션쇼 
오브제: 스튜디오 욥(Studio Job), 지구본 컬렉션: 스와로브스키(Swarovski), 대좌(臺座) 컬렉션: 빅터 & 롤프(Viktor & Rolf)
PHOTO © PETER STIGTER

10월 3일, 파리 패션 위크에서 빅터 & 롤프의 2010년도 봄/여름 컬렉션이 공개되었다. 런웨이가 시작되는 곳 양쪽으로는, 거대한 지구본 그리고 대좌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번 무대의 디자인을 맡은 주인공은 스튜디오 욥. 디자이너 듀오 닝커 티나헐과 욥 스메이츠[1]가, 패션 디자이너 듀오 빅터 & 롤프를 위해 디자인한 것이다. 

PHOTO © PETER STIGTER
Photo by Dominique Charriau/WireImage.com

이번 런웨이에 등장한 지구본은 2008년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열린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 팰리스’에서 선보였던 초대형 지구본이다. 직경 1m 75cm의 거대한 구체 위에, 50만 개의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그려낸 지구의 모습을 담고 있다. 그 맞은 편에는 거대한 대좌 겸 스피커가 놓여 있다. 그 위에 오른 인물은 아일랜드 출신의 가수이자 환경운동가인 로신 머피(Róisín Murphy). 패션쇼가 진행되는 동안 그녀는 무대 위에서 노래했고, 그 맞은 편에서는 지구본이 빙글빙글 돌며 빛을 발했다. 

스튜디오 욥과 빅터 & 롤프. 이들의 협업은 이미 1990년대부터 시작되어 왔던 바, 이번 협업이 난데 없는 일은 아니다. 닝커 티나헐과 욥 스메이츠는 빅터 & 롤프와의 우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스튜디오 욥은 빅터 & 롤프와 오랜 우정을 간직해왔다. 우리의 길이 서로 교차할 때마다, 함께 즐겁게 일한다. 주얼리, 프린트, 가구, 그리고 이제는 런웨이 디자인까지 말이다.”

www.studiojob.nl

ⓒ designflux.co.kr


[1] 표기 수정: 닝케 티나헬 -> 닝커 티나헐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런던시 튤립 타워 무산

영국 건축사무소 포스터 앤 파트너스(Foster + Partners)에서 디자인한 초고층 건물 ‘튤립 타워(The tulip)’가 끝내...

2009-01-06 |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 웹사이트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첫 웹사이트 리뉴얼의 핵심은 ‘아카이빙’이라 하겠습니다. 그간의 작업 전체를 망라한다는 것은 실패작까지도 포함한다는 뜻이고,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를 두고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개별 작업은 ‘아카이브’ 메뉴의 텍스트형 목록과 ‘프리뷰’ 메뉴의 이미지형 목록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2022년 지금의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지요. 

2010-09-13 | 이베이 박스

팬데믹을 지나며 미국에서도 온라인 쇼핑 이용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안전과 편의가 낳은 부작용 가운데 하나라면 포장 폐기물의 증가입니다. 배송이 유일한 판매 방식인 기업들은 그래서 전통적인 일회용 종이 박스 대신에 재사용 박스를 도입하기도 했죠. 2010년 이베이는 종이 박스이면서도 최소 5번의 재이용을 꾀하는 포장을 모색했습니다. 이름하여 ‘이베이 박스’는 그것이 이베이이기에 가능한 발상이었습니다. 구매자가 판매자가 되기도 하고 판매자가 구매자가 되기도 하는 곳이었으니까요. 하지만 12년이 지난 지금은 이베이 박스 홈페이지 링크도, 이베이 그린 팀의 홈페이지 링크도 갈 곳을 잃었습니다.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