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지그재그 의자’를 선보였다. 그 후 한 세대가 지난 1967년에 베르너 팬톤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일체형 의자를 만들었고, 2021년, 올해 드디어 재스퍼 모리슨은 ‘원-피스(one-piece)’ 목재에 대한 열망을 다시 되살려, 90년 전 리트벨트가 열망했던 ‘단 한 장’의 꿈을 구현해냈다.

이소 라운지, 2021. © Jasper morrison

재스퍼 모리슨의 새 의자 디자인 ‘이소 라운지(Iso-lounge)’는 이번 2021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서 공개되었다. 영국의 가구 업체 이소콘 플러스(Isokon Plus)에서는 가구 제작 기술력을 총 동원하여, 무늬목 합판 ‘단 한 장’ 만으로 캔틸레버 형태(외팔보 형식)를 구현함으로써 오랜 가구 디자인의 꿈을 현실화했다.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캔틸레버 의자는 불안해 보이는 외양과 달리, 실제 구조는 안정되게 설계되고 튼튼하게 만들어져 앉은 이를 편안하게 지지해준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이 의자는 재스퍼 모리슨과 이소콘 플러스 팀이 런던에 위치한 기업의 워크숍에서 18개월 이상 개발에 몰두한 끝에 완성된 결과물이다.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형태이지만, 이것은 현재 가능한 최고의 기술을 적용하여 합판 소재의 성능을 한계까지 끌어올린 결과물이다.

(좌) 의자에 사용되는 무늬목 합판, (우) 합판 성형 과정, 2021. © Isokon Plus

“의자를 디자인할 때, 이소콘 플러스의 로고, 제럴드 서머스의 라운지 의자, 헤리트 리트펠트의 지그재그 의자에서 보이는 흐르는 듯한 일체형의 합판을 떠올리면서 진행했다. 또 2007년에 디자인한 코르크 의자에 적용했던 좌판, 등받이의 높이와 각도가 이 의자에도 담겨 있다. 이 의자에서는 구조와 라인, 비율, 편안함이 무엇보다 큰 도전 과제였지만 이소콘 플러스의 얇은 합판 성형 기술이 있었기에 완성할 수 있었다”며 모리슨은 전반적인 디자인 과정과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isokonplus.com
jaspermorrison.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29 | 일렉트로룩스, 바다를 청소하다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사이 북태평양 바다에 거대한 쓰레기 섬이 있습니다. 육지에서 흘러나와 바다를 떠돌던 쓰레기들이 북태평양 환류 지점에 모여, 지도에도 없는 섬을 이룬 것이지요. 그 존재는 1997년 요트를 타고 항해 중이던 찰스 무어에게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2018년 기준 이 섬의 크기는 한반도 면적의 16배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더욱 커졌겠지요. 2010년 일렉트로룩스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기 위해 특별한 청소기들을 선보였습니다. ‘바다에서 온 진공청소기’는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지중해, 발트해에서 건져낸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청소기입니다.

2006-10-25 | 타일러 브륄레, 〈모노클〉 창간

기자였던 그는 <월페이퍼> 매거진을 창간하며 발행인으로 변신했습니다. 그리고 11년 뒤 새로운 잡지와 함께 업계에 귀환했지요. 바로 <모노클>입니다. 타일러 브륄레 는 비즈니스와 라이프스타일 모두를 아우르는 국제적인 감각의 인쇄 잡지를 선보였고, 그 이후의 이야기는 아시는 것과 같습니다.

2008-10-20 | 필름 카메라의 귀환

무엇인가가 주류로 부상할 때, 그것에 의해 밀려난 것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된 시기와 클래식 카메라, 로모, 토이 카메라 등이 인기를 누린 시기가 비슷했던 것처럼요. 2008년 일본의 슈퍼헤즈가 내놓은 ‘블랙버드, 플라이’도 그러한 맥락에 있었던 제품이었습니다. 

2010-05-31 | 팬톤 호텔

팬톤의 컬러칩은 팬톤의 주력 상품이기도 하지만, 자체로 팬톤을 상징하는 디자인 자산이기도 하죠. 컬러칩의 모양새는 팬톤과의 ‘협업’을 원하는 여러 브랜드의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또 팬톤의 자체 라이프스타일 소품군의 기반이기도 합니다. 2010년 팬톤은 브뤼셀에 호텔을 열며, 소위 ‘팬톤 유니버스’를 소품에서 공간으로 확대했습니다. 다만 더 이상 팬톤 호텔을 방문할 수는 없으니, 팬톤이 떠나고 이미 다른 호텔이 운영 중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