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23 | 허브 스탠드

Editor’s Comment

오늘은 소품 소식입니다.  집에서 간단한 채소를 길러 먹는 홈파머를 위한 주방 소품 ‘허브 스탠드’입니다. 노르만 코펜하겐에서 선보인 이 제품은 여러 종류의 채소를 나눠 기를 수 있는 여러 개의 화분과 수확을 위한 가위가 한묶음을 이룹니다. 홈파밍에 대한 관심은 2020년 팬데믹을 지나며 한층 커졌다고 하지요. 가전 제품의 형태로 나아간 가정용 식물재배기도 낯설지 않은 요즘입니다. 

덴마크의 디자인 회사 노르만 코펜하겐(Normann Copenhagen)이 신제품을 내놓았다. 언제나처럼 깔끔하면서도 실용성을 겸비한 제품들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눈길을 끄는 제품이 있으니, 바로 ‘허브 스탠드(Herb stand)’다. 

디자이너 야콥 헤이베르(Jakob Heiberg)의 디자인으로, 깔끔한 형태 언어가 제품의 기능까지도 명백히 전달한다. 식용 허브를 종류별로 분류해 기르고, 자란 허브를 필요할 때마다 바로 잘라 요리에 넣을 수 있다(제품 구성에 가위가 포함된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허브를 길러 먹는 과정 전반을 염두에 둔 제품 디자인인 셈이다. 

야콥 헤이베르는 이 제품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나의 디자인 접근 방식은 매우 기능적이다. 제품에 무엇인가 새롭고 색다른 요소를 더해 디자인에 특별한 가치를 불어넣는 편을 좋아한다. ‘허브 스탠드’의 경우 일단 테이블에 올려둘 수 있는 형태로, 동시에 하나의 기능을 중심으로 몇 가지 용법들을 한데 모아냈다.” 

http://www.normann-copenhage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도레이, 100% 식물성 나일론 개발

일본의 섬유회사 도레이(Toray)가 식물유래 화합물로 만든 나일론 섬유 ‘에코디아 N510 (Ecodia ® N510)’를 출시했다....

2010-07-21 | 머스 커닝엄 이벤트

시각 및 퍼포먼스 예술을 지원해온 트와이스 예술 재단의 저널 <트와이스>가 처음으로 디지털 태블릿을 매체로 삼았습니다. ‘트와이스: 머스 커닝엄 이벤트’는 아이패드 앱의 형식으로 전설적인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머스 커닝엄의 작업을 제시합니다. 춤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재현하고 전달할 것인가라는 트와이스의 오랜 고민을 당시 급부상한 태블릿 환경을 기회 삼아 시험했던 사례입니다. 

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사물이 말을 한다면 #2 꽃과 함께 피어나 꽃과 함께 지게 된 내 첫 번째 생

운명의 트럭 못~쓰는 냉장~고, 티브~이, 컴퓨~터, 에어~컨 삽니다. 공-일-공-팔-오-삼-팔-오-이…. 아침마다 들었던 이 소리에 나의 운명이 결정될지 몰랐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