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 건조실에서 선보인 전시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대규모 오프라인 디자인 박람회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는 여러 방식들이 모색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가구 브랜드 프로스토리아(Prostoria)는 지난 6월 코로나 19 속에서 관객과 소통하기 위해 ‘리비지팅 팩토리(Revisiting Factory)’라는 제목의 오프라인 전시를 개최했다. 이 전시에서는 가구로 만들어지기 전까지 목재를 보관하는 장소인 프로스토리아의 목재 건조실을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여, 건조 중인 목재와 완성된 디자인 가구를 함께 선보였다. 많은 관람객이 모이는 박람회와 달리 야외 공간이나 관람객 간 충분히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프로스토리아의 대표 토미슬라프 크네조비치(Tomislav Knezovic)는 “지속가능성이 디자인프로세스의 일부”임을 보여주기 위해 목재 건조실을 전시공간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프로스토리아, 리비지팅 팩토리, 2021. © Prostoria

‘리비지팅 팩토리’는 2020년부터 시작된 ‘리비지팅 아날로그(Revisiting Analogue)’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기획된 전시이다. ‘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는 지역의 건축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된다. 지난 해 프로스토리아는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크로아티아 도심에서 벗어난 지역에 위치한 프로스토리아 공장 근처 숲 속에 ‘투명 벽’으로 된 컨셉 주택 형식으로 파빌리온을 만들어 선보였다.

2020년의 ‘리비지팅 아날로그’와 2021년의 ‘리비지팅 팩토리’는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 19로 인해 취소된 국제 가구 박람회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프로스토리아, 투명한 벽으로 만들어진 파빌리온(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 2020. © Prostoria

‘리비지팅 팩토리’ 프로젝트는 2021 독일 브랜드 어워드(German Branding Awards 2021)에서 3개 의 상을 받았다. 특히 국제시장을 활발하게 만드는데 기여한 브랜드에 수여하는 엑설런트 브랜드-인테리어 & 리빙(The Excellent Brands-Interior & Living) 부문을 수상했다.

‘리비지팅 팩토리’와 ‘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는 모두 크로아티아-오스트리아계 디자인 그룹인 누먼/포유즈 스튜디오(Numen/ForUse studio)와 산업디자이너 사이먼 모라시 피페치치(Simon Morasi Pipercic)와의 공동작업으로 진행되었다.

prostoria.eu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2007-11-09 | MIT, 프랭크 게리 고소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MIT의 ‘레이 & 마리아 스테이터 센터’는 놀라운 형태와 구성으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개관 직후부터 건물은 이런저런 하자에 시달렸습니다. 아고라를 구현하였다는 원형 극장 석조부에 금이 가고 하수가 역류하는가 하면, 이곳저곳에서 누수로 곰팡이가 피었다고요. 장관을 이룬 다각의 벽들은 겨울이면 얼음과 눈이 흘러내리는 슬로프가 되었습니다. 결국 MIT는 설계를 맡은 프랭크 게리 & 어소시에이츠와 건설을 맡은 비컨 스칸스카 등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2010-07-21 | 머스 커닝엄 이벤트

시각 및 퍼포먼스 예술을 지원해온 트와이스 예술 재단의 저널 <트와이스>가 처음으로 디지털 태블릿을 매체로 삼았습니다. ‘트와이스: 머스 커닝엄 이벤트’는 아이패드 앱의 형식으로 전설적인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머스 커닝엄의 작업을 제시합니다. 춤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재현하고 전달할 것인가라는 트와이스의 오랜 고민을 당시 급부상한 태블릿 환경을 기회 삼아 시험했던 사례입니다.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It’s Our F***ing Backyard)’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테델릭 뮤지엄(Stedelijk Museum Amsterdam)에서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It’s Our F***ing Backyard)’이 2022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